가톨릭교회에서는 아직도 여자의 사회학적 키가 '엄지공주'



[논평: 성염]

호세 그라나도스 교수의

혼인성사와 삼위일체의 신비

사랑과 생명의 역동”에 대한 논평 


* 2013년 10월 21일, 대전가톨릭대학교에서 "몸의 신학"이라는 주제로 열린 국제심포지움에서 로마 라테란 대학교 호세 그라나도스(Jose’ Granados: '교황청립 혼인과 가정에 관한 연구를 위한 연구소' 부소장) 교수가 “혼인성사와 삼위일체 신비, 사랑과 생명의 역동”이라는 제목으로 발표한 논문에 붙인 필자의 '논평문'이 최근 발견되어 늦게나마 수록한다. 


IMG_1666.jpg

 

요한바오로 2세의 저서와 교도권 문헌의 번역을 통해서[1] 뜻밖의 인연을 맺어온 논평자는 그에게 대한민국 대통령의 신임장을 제시하고 환담하였고 그의 교황직 마지막 2년을 가까이서 지켜본 특전이 있었으므로,[2]교황청립 요한바오로2세 혼인과 가정대학 신학원이 라테란에 설립된 일도 반가웠고, 아마도 분교 형태로 대전가톨릭대학교 내에 혼인과 가정 대학 신학원이 설립 운영되는 소식도 기뻤다논평자가 번역한 그의 교황직 기조문서에서 인간의 가치와 존엄성에 대한 그 깊은 경탄을 일컬어 복음, 달리는 그리스도교라고 일컫는다.”[3]는 선언은 이 인간이야말로 교회가 자기의 사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반드시 따라 걸어야 하는 일차적이고 근본적인 길”[4]을 정초하였다. 그가 서거하자마자 대교황(大敎皇)”이라 불리기 시작한 것은 26년에 걸친 교황직을 통해서 가톨릭교회의 사회교리를 완성한 공적 때문이라는 것이 논평자의 견해다.


호세 그라나도스 교수의 몸의 신학번역본[5]을 읽은 독자로서 그의 주제발표문을 논평하게 된 기회에 논평자는, 발표자가 소개하는 선교황의 몸의 신학이 현대를 살아가는 남녀인간에게 에로스 영성을 심취시키는 방향으로 발전되기 바란다는 것과, 가정을 주제로 열리리라는 차기 주교 시노드에서는 평신도 그리스도인들이 에로스의 영성을 바탕으로, 영육이원론을 극복하는데[6] 교회의 사회복음을 수용하는 기틀이 만들어지기를 희망한다는 두 가지를 술회코자 한다.


새 교황 프란치스코는 모든 그리스도인들에게 밖으로 나가라!”고 호소하고[7] 한국천주교 주교회의는 사회교리주간을 설정하여 사회복음전파에 힘쓰고 있지만, 기득권층에 편입된 한국사회의 중산층 교우들이 반공이데올로기 하나만 기치로 내세우면 가톨릭 사회복음의 예봉을 단번에 꺾어버리고, 그러한 선악이원론의 바탕에는 스무 세기 가까이 신자들의 영성에 덧씌워진 영육이원론이 자리 잡고 있다는 것이 논평자의 경험에서 얻은 확신이다. 베네딕토 16세가 첫 회칙에서 에로스를 이야기하지 않았더라면 교회인사들은 감히 에로스를 언급하지 않았을 것이다.[8]


그라나도스 신부는 혼인과 가정을 복음화해야 하는교회의 임무에서 발표를 시작하였다. 200여만의 사제와 수도자를 빼놓고 12억 가톨릭신자들이 부름받은 결혼생활과 성애(性愛)를 신앙의 관점에서도 기쁜 소식으로 만들고, 하느님이 하와를 빚어 데려오셨을 적에 그 눈부신 을 보고 아담이 내지른 이야말로 내 뼈에서 나온 뼈요 내 살에서 나온 살이로구나!”(창세 2,23)라던 탄성(창조 후 인간의 첫 발언!)을 되살리는 일은 시급하다.[9]하느님은 우리가 가장 가까이 지니고 있는 인간 몸을 통해서 현존하십니다. 그리고 우리에게 가장 사랑스러운 가족의 사랑 안에서 현존하십니다.”는 발표자의 말대로, 지금은 인간이 몸으로 사랑하는 에로스에서 하느님의 에로스를 보는 영성이 절실하다.


루치아니 교황이 경고한대로[10] 교회인사들의 성사론은 그리스도께서 6개 성사와 덫 하나를 설립하신 것으로 들어온 기혼자로서는, 발표자가 요한바오로 2세의 말을 빌어 인간의 몸을 태초의 성사또는 성사 이전의 성사로 들어높이고 일곱 가지 성사들 중 혼인 성사를 가장 위대한 표징으로 추켜준 데 대해서 눈물겹게 고마울 정도다. 그리고 혼인이 몸의 언어를 활용하여 육을 통해 실현된다거나 몸은 우리가 우리 자신을 넘어서 세상과 다른 사람들을 발견하고 향하게 하는 장소라거나 (아가서의 가르침대로) “우주 전체가 남자와 여자의 사랑 안에서 그 충만함을 얻는다는 아름다운 명제들은 우리가 신혼 초야부터 체험하는 신비가 그토록 참신하고 혁명적인 발설로 귀에 들린다는 사실은 교회의 몸의 신학혼인사목이 현실과 얼마나 괴리를 두어 왔는지 드러내기도 한다. 총각 처녀가 사랑에 눈뜨면서 난생 처음 발설하는 단어들이 영원무한그리고 오로지 당신의 것이라는 신학적 단어들이어서 하는 말이다.


그라나도스 신부가 세례자 요한을 들어 때로는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사랑을 거슬러 저질러진 불의를 고발하고 사랑의 진리를 말하지 않고는 예수님에 대해 말할 수 없고, 예수님을 말하지 않고는 사랑의 진리를 죽기까지 수호할 수 없다결연한 학자적 각오를 보인 것은 그가 가르치는 신학원에도, 차기 시노드에도 매우 고무적이다. 그 첫 번째 불의는 가톨릭교회가 몸을 영혼의 세 가지 원수가운데 하나로 400년간 공식으로 가르쳐온 교리에 있으며,[11] 둘째 불의는, 자발적으로 독신생활을 선택한 수도자들과 트렌토공의회에서 날벼락처럼 독신의무를 짊어진 성직자들이 주도해온 여성공포증(gynephobia)’의 영성이며,[12] 세 번째 불의는 인간 존재의 비세계성(非世界性)에 근거한에로스-아가페 이론[13]임을 발표자도 잘 알고 있다.


그런 면에서 혼인 안에 인간의 힘과 능력을 넘어서는 거룩한 어떤 것(qualcosa di sacro), 하느님 현존의 표징인 어떤 거룩한 것이 있다는 유보적 명제는 혼인은 거룩하다라는 직설적 문장에 비해서 인색하게 들린다.[14] 왜 그러냐 하면, “하와는 아담의 갈비뼈로부터 나왔는데, 그것은 두 사람이 갈비뼈에 의해 결합될 때를 위해서 그리고 두 사람이 같은 목표를 향해, 즉 하느님을 향해 걸어가게 하기 위함이라는 문장마저 이런 배경에서는, 발표자가 아우구스티누스를 인용하여 말하므로 논평자도 아우구스티누스를 인용하여 질문하기로 하자면, 가톨릭교회에서는 아직도 하와의 사회학적 키가 엄지공주(ancella pollice)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터에[15] 남자와 여자가 동일한 목표 하느님을 향해걸어가는 걸음이 얼마나 절뚝거리는지 아느냐는 비아냥에 직면하게 된다.


아울러 현대 세계는 성과 사랑을 속화시켰고 실증적 학문의 도움으로 가정을 적절하게 기술할 수 있다고 여긴다는 비판에 동의하면서도, 몸을 영혼의 구원에 장애물로 가르치다 에로스 곧 성애를 영성적 고찰 바깥으로 내쳐서, 평신도들이 이것은 우리가 알아서 할 일로 챙겨갔고 현대세계는 교회가 내버린 섹스를 머릿돌로 삼아 프로이트가 예고한 시대(pan-sexualism)를 살아가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을 떨치지 못한다.[16]


논평자도 최근에 아우구스티누스의 삼위일체론을 역주하여 출판을 앞둔 시점이므로 그라나도스 교수가 하느님의 사랑과 혼인 사이의 위대한 유비에 착안하여 제목부터 혼인성사와 삼위일체 신비로 정한데 전적으로 공감한다. 특히 이 위대한 교부가 그대가 사랑을 본다면 그대는 바로 삼위일체를 뵙는 것이다!”[17]라고 단정하고서, (하느님의 단순성을 전제로) ‘사랑이라는 것이 사랑을 주고받는 남녀 사이의 작용으로 그치지 않고 두 인격체의 실체를 형성한다는 가르침에 유의하고 싶다. 교부는 사랑이 아무것도 아니라면 하느님은 사랑이시다라는 말이 어떻게 성립하겠는가? 사랑이 실체가 아니라면 어떻게 하느님이 실체이신가?”[18]라고 물었다.


이 교부가 형제애’(우리 논제에서는 부부애라는 에로스)실체로 고양하는 과감한 시도에 경의를 표한다. “사랑은 하느님으로부터 오고 사랑하는 모든 이는 하느님에게서 태어났고 하느님을 알기 때문입니다. 사랑하지 않는 자는 하느님을 모릅니다. 하느님은 사랑이시기 때문입니다.”(1요한 4,7-8)라는 구절을 해설하면서 교부가 끌어내는 논리적 도약이 놀랍다. “이 문장이 설파하는 바는, 형제애 자체가 하느님으로부터 옴은 물론이려니와 바로 하느님이기도 하다는 점임을 충분히 알 수 있고 또 이를 명시적으로 천명하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가 사랑으로부터우러나 형제를 사랑할 때에 하느님으로부터우러나 형제를 사랑하는 것이다. 그러니 저 두 계명은 서로가 없이는 존재하지 못함을 깨닫게 된다.”[19]


발표자는 랍비의 입을 빌어 혼인을 통해 남자와 여자를 결합시키는 것이 하느님에게 있어 홍해의 물을 갈라놓으시는 것보다 더 어려운 일이라고 했는데 결혼생활 40년의 경험을 내세워 전적인 공감을 표한다. 부부의 에로스 삶에서 겪는 속앓이는 구세사를 통해서 쏟아 붓는 성부 하느님의 사랑이 띠는 에로틱한 성격을 충분히 체험케 만드는 까닭이다. 인류의 고통 때문에 마음이 흔들리시고, 인간의 어리석음 때문에 당황하시고, 우리가 저지르는 불의 때문에 화를 내시고, 우리 잘 되라고 시샘을 보이시고, 언제든지 또 줄기차게 사랑을 품고 우리를 향해 밀고 오시는 하느님의 대책 없는’ prodigal 사랑, ‘격정적인’ passionate 사랑, ‘과격한’ radical 사랑, ‘극단적인’ extreme 사랑, ‘엉뚱한’ extravagant 사랑, ‘분수 모르는’ exuberant 사랑, ‘헤픈’ lavish 사랑을 기혼자들은 삶의 현장에서 나날이 체득하는 까닭이다. 특히 예언서에서 분노와 연민 사이를 오가시는 심정을 하느님의 조울증‘ mood swings이라고 부르는 말마디마저도 우리에게는 생소하지 않다.[20]


이런 체험에서 성자 하느님을 두고 혼인 안에서 사랑이 언제나 몸을 통해 오고 감으로 해서 우리가 육화의 신비에 가까이 다가갈 수 있다는 그라나도스 교수의 표현이 우리 기혼자들에게는 소중한 깨우침이다. 우리 인간은 예언자들의 그 오랜 가르침에도 하느님 사랑을 알아듣지 못하였으나 하느님의 바디 랭귀지(body language)’이신 예수 그리스도에게서 비로소 하느님 사랑의 언어를 알아듣기 시작하지 않았던가? “하느님은 사랑이시고 몸은 사랑의 장소이기 때문에 하느님은 몸을 통해 움직이셨다거나 하느님 아드님의 육화를 con-carnazione[몸으로 이뤄지는 유대]라는 대담한 표현은, 기혼자들은 에로스를 통해서만 구원이 가능하다는 인식을 새롭게 한다. 겉으로 명예롭지 않은당신 가문의 족보에서도,[21] 부활직후 무덤가에서 있었던 막달레나와의 해후에서도 에로스를 승화하시는 예수님의 언행을 목격할 수 있다.[22] 말씀의 육화 후 하느님의 사랑은 전적으로 에로스로서 드러난다는 단언도 가능하겠다.


발표자가 몸의 예찬을 통해서 혼인을 복음화하는 의도는 우주 전체가 남자와 여자의 사랑 안에서 그 충만함을 얻게 된다거나 인간의 몸은 남자와 여자의 결합 안에서 역사 전체와 거룩함을 모아들이는 소우주가 된다거나 혼인성사로 가정은 늘 다른 가정들과 세상을 향해, 자연을 향해, 우주를 향해, 시간과 역사를 향해 열려 있다는 고귀한 선언으로, “요한바오로2세 혼인과 가정대학 신학원이 지향하는 목표가 그리스도인들의 가정을 사회복음의 못자리요 현장으로 만들어 가는데 있음을 보여준다. ‘성령 하느님의 역사하심을 통해서 생명의 문제가 한 가족을 계승하는 차원에서 온 인류의 생명이 끊어지지 않고 지구라는 생명권이 침몰하는 수평선으로 신앙인들의 시선을 돌리려는 의도다. “가정이 공동선을 건설해야 하는 사명... 그것은 우리 [인류의] 공동 생명의 지속과 품위에 결정적인 문제는 남녀 에로스가 갖는 도덕적 외연을 어디까지 확장하려는지 보여준다. 성령 하느님의 이 충동을 받아 나의 중심은 나의 사랑입니다. 사랑으로 어디로 이끌리든 그리로 내가 끌려갑니다”[23]라고 선언한 아우구스티누스는 신앙인들을 당신 안에서 폭넓은 사랑에서 진리로 양육 받는 사람들이라고 불렀으며[24] 인간의 에로스가 발전할 영성적 폭을 사회적 사랑’(amor socialis)에다 설정하고 있다.[25] 그리고 선교황 베네딕토 16세는 교부의 이 사회적 사랑을 구체화하여 정치라고 못 박음으로써 사회 복음이 에로스에 지적하는 극점을 선명하게 밝혔다.[26] 논평자는 21세기를 평신도 시대로 규정짓고 있으며 교회가 몸의 신학을 토대로 한 에로스의 영성으로 사회복음을 가르치는 길만이 신앙인들에게 책임 있는 국민사도직을 준비시키는 첩경이라고 주장한다.


-각주- 


[1] 성염의 번역본 참조: Karol Woytila, Segno di contradizione. Meditazioni (Milano 1977), 반대받는 표적(성바오로출판사 1981); Luigi Accattoli, Giovanni Paolo: La prima biografia completa (Milano 2006), 세상은 당신이 필요합니다(바오로딸 2010); 교황 요한바오로 2, 첫회칙 인간의 구원자 Redemptor hominis (1979)(CCK 1981); 현대의 교리교육 Catechesi tradendae (1979)(CCK 1980); 자비로우신 하느님 Dives in misericordia (1980)(CCK 1981); 사회적 관심 Sollicitudo rei socialis (1987)(CCK 1988). 그 외에도 Giovanni Paolo II, Trittico Romano (Milano 2003), 최성은 역, 내 안에 그대 안식처 있으니: 로마에서 온 세 폭의 성화(따뜻한 손 2003); Giovanni Paolo II, Alzatevi, andiamo! (Roma, 2004), 성하은 역, 일어나 갑시다!(경세원 2005)를 직간접 감수하기도 했다

[2] 2003.7~2007.9 주교황청 한국대사.

[3] 인간의 구원자, 10.

[4] 인간의 구원자, 14. 

[5] Carl A.Anderson- Jose’ Granados, Called to Love. Approaching John Paul II’s Theology of Body, 사랑이 부르시다: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몸의 신학입문(이순-박문수 역, 사람과 사랑 2010).

[6] James and Evelyn Whitehead, Holy Eros. Recovering the Passion of God 성염 역, 「홀리 에로스. 하느님의 열정을 되찾기(성바오로 2014)

[7] 선교황의 호소 Alzatevi, andate!(위의 각주 1 참조)와 현교황의 호소 Andate fuori! 사이의 연속성을 유의할 만하다.

[8] 회칙 하느님은 사랑이십니다(Deus Caritas est)에서 교황은 에로스남녀 간의 사랑으로서, 어떤 계획이나 의도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어느 모로 분명히 인간에게 부과된 것”(3)이라고 정의하면서 하느님이 각각의 인간을 각별하게’ ‘열정적으로사랑하시므로 그분의 사랑은 확실히 에로스라고 불릴 만하다.”, 성서 예언자들이 당신 백성에 대한 하느님의 열정을 묘사할 때 대담한 관능적 표상들을 사용한다.”고 환기시킨 바 있다(9).

[9] 그래서 사목자들이 지켜본 가정교회당신께서 저와 함께 살라고 주신 여자가 그 나무 열매를 저에게 주기에 제가 먹었습니다.”라고 험담하면서 네가 임신하여 커다란 고통을 겪게 하리라. 너는 괴로움 속에서 자식들을 낳으리라. 너는 네 남편을 갈망하고 그는 너의 주인이 되리라.”, “땅은 너 때문에 저주를 받으리라. 너는 사는 동안 줄곧 고통 속에서 땅을 부쳐 먹으리라.”(창세 3,12.16-17)고 저주받은 남녀의 공동운명체(familiare consortium)로 보이기 십상이었으리라.
 [10] 
불란서에 프레데릭 오자남이라는 교수가 있었습니다. 그의 친구 라꼬르데르 신부는 정말 훌륭한 사람이다. 이 친구는 틀림없이 사제가 되어 훌륭한 주교가 될 것이다.’라고 했습니다. 그러나 오자남은 멋진 아가씨를 만나 결혼했습니다. 라꼬르데르는 기대가 꺾인 나머지 한탄했습니다. ‘불쌍한 오자남! 그 사람마저 덫에 걸리다니!’ 이태 후 그 신부가 로마에 갔다가 교황 비오 9세에게 꾸중을 들었다. ‘신부님, 제가 듣기로는 예수님이 세우신 것은 일곱 성사라고 합디다. 그런데 당신이 하는 말대로는 예수님이 여섯 성사와 덫 하나를 제정하신 셈입니다. 신부님, 결혼은 덫이 아니고 크나큰 성사올시다."(요한 바오로 1세 연설집 희망의 사광이 누리를 비춥니다(성염 역, 성바오로 1979) 75)

[11] 천주교요리문답(트렌토 공의회[545-1563]부터 제2차 바티칸공의회[1962-1965]까지 400년간 통용된 교리서), 179: “영혼의 세 가지 원수는 무엇이뇨?” “영혼의 세 가지 원수는 마귀, 세속, 육신 삼구(三仇)니라.”

[12] "자신의 본성이 어떤 것인지 곰곰이 생각할 줄 아는 여자는 그 본성에 수치감을 느낄 수 밖에 없다.”(Clemens Alexandriae: Paedagogus 2,33); "유혹자 하와의 역할을 계승하고 있는 여자는 악마가 들어오는 문이다.”(Tertullianus, De cultu feminarum 1,1); “여자는 잘못 태어난 남자이며 따라서 남자에 비해 결함이 많고 불완전한 본성을 지니고 있다. 여자는 누구든 독사나 뿔 달린 악마를 대하는 것처럼 조심하지 않으면 안 된다.”(Albertus magnus, In Aristotelis De animalibus 15); "자연 스스로의 작용에 따라 여성은 열등하며 실패작이다.”(Thomas Aquinas: Summa theologiae I, q.92, a.1 ad 1); “월경중이라면 경건하고 독실한 여성들은 거룩한 식탁이나 주님의 몸과 피를 만질 생각을 절대로 하지 않을 것이다.”(Ep.Dionysius Alexandrinus, PG 10.1281)

[13] Anders Nygren, Agape and Eros((Sweden 1930/1936)(Chicago, 1953). 고구경 역 아가페와 에로스(서울, 크리스챤다이제스트 1998)): “에로스아가페는 본질적으로 다른 두 가지 사랑을 대표한다.” “아가페는 하느님의 전적으로 자기 증여적인 사랑이고 에로스란 본질적으로 인간 욕망의 자기중심적 표현이다.” “에로스는 아가페의 부패한 형태이다.”

[14] 아니면 여성의 존엄성을 두고도 여성에게도 존엄한 어떤 것이 있다”(anche la donna ha qualcosa di dignita’)라는 옹색한 사고가 폭로될 우려가 있다.

[15] Augustinus, De peccatorum meritis 1,38,68: “갈비뼈가 신체의 작은 부분이기는 하지만, 하느님이 아담에게 쬐그만 배필을(parvulam coniugem) 빚어주신 것은 아니다.”

[16] 교회의 결혼 사목은 성애 문제만 나오면 무력해지고(“그 돌 위에 떨어지는 자는 부서지고, 그 돌에 맞는 자는 누구나 으스러질 것이다: 마태 21,44) 교회가 내버렸으므로 악마는 얼른 주워다가 내가 받은 것이니 내가 원하는 이에게 주는 것이오.”(루카 4,6)라는 독성적인 거짓말을 서슴지 않았다.

[17] Cf., Augustinus, De Trinitate(삼위일체론), 성역 역주, 분도출판사 근간) 8,8,1: vides trinitatem si caritatem vides..

[18] Augustinus, De Trinitate 6,5,7: “거룩하신 저 영은 성부와 성자의 공통된 무엇... 사랑이라고 언표함이 더 적당하겠다. 그리고 이것 역시 실체이니 하느님은 실체이시고, 성경에 기록된 대로, 하느님은 사랑이시기 때문이다.” ‘하느님은 실체다.’ ‘하느님은 사랑이다.’ 따라서 사랑은 실체다’(caritas quoque substantia)라는 교부의 특칭 삼단논법이다.

[19] Augustinus, De Trinitate 8,8,12. fraternam dilectionem.. etiam deum esse: ‘하느님은 사랑이시다라는 명제에서 형제애가 곧 하느님이다라는 놀라운 도약을 끌어냈다.

[20] J. and E. Whitehead, 「홀리 에로스. 하느님의 열정을 되찾기에 등장하는 과감한 표현들임. 

[21] 마태 1,1-25: “유다는 타마르에게서 페레츠와 제라를 낳고... 살몬은 라합에게서 보아즈를 낳고 보아즈는 룻에게서 오벳을 낳았다....다윗은 우리야의 아내에게서 솔로몬을 낳고..“라는 족보에도 밧 세바가 아들을 낳자 다윗은 그의 이름을 솔로몬이라 하였다. 주님께서 그 아이를 사랑하셨다.”(2사무 12,24)는 말은 (6.9 계명 위반을 모조리 대죄로 단죄하는 윤리신학자들보다) 하느님이 에로스에 여유로우심을 보여준다.

[22] 요한 20,16-17: “예수님께서 마리아야!’ 하고 부르셨다. 마리아는 돌아서서 히브리 말로 라뿌니!’ 하고 불렀다.... ‘내가 아직 아버지께 올라가지 않았으니 나를 더 이상 붙들지 마라.’” 200주년 성서("나를 만지지 마시오. 내가 아직 아버지께로 올라가지 않았기 때문입니다.“)와 공동번역성서("내가 아직 아버지께 올라가지 않았으니 나를 붙잡지 말고 어서 내 형제들을 찾아가거라”)와 비교.

[23] Augustinus, Confessiones 13,9,10: amor meus pondus meum, quo feror eo feror.

[24] Augustinus, Confessiones 13,9,10: amor meus pondus meum, quo feror eo feror. 

[25] "두 사랑이 있으니 하나는 순수하고 하나는 불순하다. 하나는 사회적 사랑이요 하나는 사사로운 사랑이다. 하나는 상위의 도성을 생각하여 공동의 유익에 봉사하는데 전념하고, 하나는 오만불손한 지배욕에 사로잡혀 공동선마저도 자기 권력 하에 귀속시키려는 용의가 있다. 하나는 하느님께 복속하고 하나는 하느님께 반역한다. 하나는 이웃을 다스려도 이웃의 이익을 생각하여 다스리지만 하나는 자기 이익을 위하여 다스린다. 천사들로부터 시작해서 한 사랑은 선한 자들에게 깃들고 한 사랑은 악한 자들에게 깃들어서 두 도성을 가른다."(Augustinus, De Genesi ad litteram 11,15,20)

[26] 정의로운 사회 질서를 위하여 일할 직접적인 의무는 평신도들에게 속하는 것입니다. 국민으로서 평신도들은 경제, 사회, 입법, 행정, 문화 등 수없이 많은 여러 분야에서 조직적으로 제도적으로 공동선을 증진시켜야 하는참여 의무를 거부할 수 없습니다.... 평신도들의 삶 전체와 사회적 사랑을 실천하는 그들의 정치 활동이 언제나 사랑에 젖어 들어야 한다는 것은 여전히 사실입니다.”(베네딕토 16하느님은 사랑이시다(Deus caritas est),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