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m-1006.gif 라틴어  Lingua Latina

 

 1. 라틴어의 역사

1.1.   라틴어는 세계언어분포상으로는 인도유럽어계(Linguae  Indo-europeae)에 속하며, 그 중에서도 그리스어, 켈트어, 고대 게르만어와 더불어 서구어를 형성하는, 이탈리아어군(Linguae Italicae)에 해당한다.

1.2  인도유럽어는 북인도, 근동, 유럽 전지역에 전파되어 있는 언어군을 가리키는데, 18-19세기 역사비교언어학에 의해서 그 모든 언어들이 형태만 아니라 의미 구조에서도 단일한 공통 조어(祖語)에서 파생되었으리라는 가정하에 붙여진 이름이다. 현재는 산스크리트어, 히티트어, 그리스어, 라틴어, 켈트어, 고대게르만어 등을 비교연구하여 상고 인도유럽어를 어휘별로 복원하는데 성공하여 사전을 만들어냈을 정도이다.[1]

1.3  이탈리아언어군이라고 하면 라틴어 외에, 기원전 이탈리아 반도에서 사용된 것으로 문전이 전해오는 오스키어(Lingua Osca), 움브리어 (Lingua Umbra), 팔리스키어(Lingua Falisca) 등을 함께 꼽는 말인데, 이 방언들은 라틴어의 확산으로 소멸된 것으로 보인다. [2] 이 방언들은 극소한 금석문의 흔적을 남겼을 따름이다.

1.4  라틴어는 이탈리아반도 서북부 라티움(Latium) 주민의 방언이었으며, 이 방언을 쓰던 라티움족은 BC 8세기에 중부 지방에 정착하여 로마를 창건한다(로마인들은 BC 753년을 건국연대로 삼는다). 로마가 그 정치세력을 확장하여 지중해 연안을 모두 정복함에 따라서 라틴어는 제국의 언어로 통용되었고, 그것이 중세를 거치면서 유럽어 전체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
  라틴어 금석 문전은 BC 6세기부터 출현하고 있으며, 알파벳의 형성은 그리스 알파벳이 에트루스키어 표기를 거쳐 라틴어 알파벳으로 성립한 것으로 추정된다. BC 1세기부터는 라틴어학 및 문법학과 수사학 저서들이 등장하는데 이 분야도 주로 그리스어 이론을 도입하고 있으며, 그것에 근거하여 고전문법이 확정된다(BC 150 - AD 150).

1.5  거의 3천년에 가까운 라틴어 역사를 염두에 둘 때에, 그 발전 단계에 따라서 '상고 라틴어', '고전 라틴어', '불가타', '그리스도교 라틴어'로 시대적 구분을 하는 것이 통례이다. BC 3세기 이전의 라틴어를 상고 라틴어(Latina archaica)라고 일컫고, 고전 라틴어(Latina classica)는 로마의 희극작가들로부터 비롯된 라틴어로서 로마문학의 최고봉인 키케로(BC 106-43)에 의해서 확립되어 서로마제국이 몰락하는 5세기까지(적어도 상류층에서) 사용된 언어이다. 라틴 문학의 황금기(엄밀히는 80 BC부터 14 AD까지: 키케로시대와 아우구스투스황제 시대를 지칭한다)를 이룬다. '불가타' (Latina vulgata)는 서기 1세기에 로마제국이 수립되면서 제국에 흡수된 지중해 연안 주민들이 사용하기 시작한 대중언어인데  4세기 이후는 제국의 언어(적어도 구어로는)로 통일된다. 중세기에 전수된 라틴어는 불가타에 해당하며, 민족이동 시대를 거쳐 정착한 민족들의 본방어와 불가타가 혼합하여 소위 라틴계어 혹은 로망스어(romana lingua)들이 발생한다. 그러한 과정에서도 불가타는 학술어, 외교어, 가톨릭교회언어로 존속하여 실용된다. 르네쌍스 시대가 오자 문인들은 중세라틴어를 거부하고 키케로, 베르길리우스, 호라티우스 등의 고전어를 복원하는 활동에 들어가며, 그때부터 불가타는 가톨릭교회와 신학의 전용어로 축소되면서 20세기에이르는데 이것을 좁은 의미로 '그리스도교 라틴어'(Latina Christiana)라고 부른다.


2. 라틴어 알파벳과 발음

2.1  고전 라틴어에서 사용되는 알파벳은 23자이며 그 명칭은 다음과 같다.

A   B   C   D   E   F   G   H   I   K   L   M   N   O   P   Q   R   S   T   V   X   Y   Z

a    be   ce   de   e   ef  ge  ha  i   ka  el   em  en    o   pe  qu  er  es  te   u    ix   hy   zeta


 

이것은 아우구스투스 시대(BC 32- AD 14)에 사용되던 문자를 기준으로 하며, 그보다 한 세대 앞서는 21자였다가 키케로 시대(BC 81-31)에 Y와 Z가 도입된 것으로 전해 온다.  V는 자음 V와 모음 U를 겸하였는데 기원 2세기부터 구분되어 쓰이면서 24자가 되었으나 지금도 고전 문전(Oxford, Leipzig, Turnholt판)에는 23자만 나온다. C와 G의 혼용은 고전 비문에서 흔히 볼 수 있다. J가 도입된 것은 중세였다.[3]

2.2  라틴어 표기 모음은 A, E, I, O, U 다섯이다. 그러나 모음은 장모음과 단모음으로 구분되는데, 고전 라틴어는 모음의 장단에 기준하여 악센트를 맞추었고 후기 라틴어에도 그 자취가 남아 있으므로 모음의 장단을 구분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모음의 장단에 따른다면, 장모음 a~, e~, i~, o~, u~와 단모음 a,e, i, o, u 으로 계상되어 열개의 모음을 갖는다고 하는 것이 더 정확하다. 라틴어 알파벳의 음가는 쓰여진 그대로이며, 로마인들은 장모음을 정확하게 단모음 길이의 두 배로 발음하였다. [4]
  라틴어 모음 체계는 다음과 같다:

                                           혀를 내밀기            혀를 뒤로 당기기

    최저                                           i~                      u~
  혀와  입천장                                i                   u
    사이의                                            e~          o~
     거리                                                   e      o
    최대                                                        a a~

  모음이 둘 합성된 중모음(diphthongus)으로 말하면, 라틴어 상고시대부터 여러 개의 중모음이 쓰였으나 거의 단모음으로 발전하였고 우리가 읽는 고전작품에서 볼 수 있는 것은 AE(음가 ai), OE(oi), AU(au) 셋이다. 한 음절로 간주하여 발음한다: e.g. Caesar, aedes, foedus, moenia, auris, paucus. [5]

2.3.  자음에 있어서도 라틴어는 음가 그대로 발음하면 된다. 우리말 음가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B    C    D    F    G    H    K    L    M    N    P    Q    R    S    T    V    X       Z
    ㅂ  ㄲ  ㄷ   f    ㄱ   ㅎ   ㄲ   ㄹ   ㅁ   ㄴ   ㅃ  ㅋ    r   ㅅ   ㄸ   v  [ㅋㅅ]   z

  라틴어 자음의 발음체계는 다음과 같다: [6]
-. 파열음 occlusivus
   순음 labialis                        p    b    ph
   치음 dentalis                        t    d    th
   구개음 palatalis                   k    g    kh
   순치음 labio-dentalis           f     v
   순연구개음 labio-velaris     kw  gw
-. 비음 nasalis                         m     n
-. 유음 liquidus                        l      r
-. 인두음 gutturalis                          h
-. 마찰음 fricativus                          s

 무성음의 경우, 순음은  P 'ㅃ' B 'ㅂ' PH 'ㅍ' 로, 치음은 T 'ㄸ' D 'ㄷ' TH'ㅌ' 로, 구개음은 C 'ㄲ' K 'ㄲ' G 'ㄱ'CH 'ㅋ'  로 발음된다. [7] Q는 반드시 반자음 u[w]와 함께 쓰여 왔고 이어서 모음이 따르기 때문에 (E.g. quando,quomodo, quiesco) 발음이 연성화한다는 논리들이 있어서 'ㄲ'보다는 'ㅋ' 로 하는 편이 무난하다고 여겨진다.[8] 그리고 라틴어 중자음들은 언제나 각각의 음가가 살아남는 것으로 간주되어 왔으나 CH, PH, TH의 경우는 편의상 'ㅋ, ㅍ,ㅌ' 로 발음한다. 고전 라틴어에서는 H는 발음된다.[9]

2.4 라틴어 액센트:  악센트는 한 음절 [10] 이상의 단어에서 다른 음절들 보다 강한 음절에 위치하며, 라틴어는 모음의 장단에 따른 강세현상으로 나타난다. [11]
  라틴어의 악센트는 <두 음절 규칙>을 따른다. [12]
① 두 음절 단어는 무조건 첫 음절에 악센트를 부과한다: virgo, aedes.
② 세 음절 이상의 단어에서 '끝에서 두번째 음절'(penultima)이 장모음이면 악센트를 받는다: amicus, magister, suadere, amabo.
③ 끝에서 두번째 음절이 단모음이면 '끝에서 세번째 음절'(ante-penultima)이 악센트를 받는다: tenebrae, serere, surgere, amaverit.

2.5  스콜라 라틴어 발음
  그리스도교 문명이 라틴어를 승계하여 중세 동안 실용하고 라틴계 언어들의 발생에 지대한 공헌을 한 사실은 익히 아는 바이다. 라틴계 언어들이 독립한 다음에도 로마 가톨릭교회에 보전되어 오던 그리스도교 라틴어를 일명 스콜라 라틴어(Latina scholastica)라고 하였는데 발음상으로는 이미 4세기에 확립되었으나 지역에 따라 약간 차이가 나던 것을 로마 발음(la pronuncia romana)으로 통일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는데 고전 발음과 상당한 차이가 있다. [13]


3. 형태론

3.1   라틴어 단어는 크게 세 부류로 나누어지는데 로마인들은 그것을 명사(nomen), 동사(verbum), 그리고 불변화사(particulum)라고 불렀다. 명사를 넷으로 나누어 실명사(substantivum), 형용사(adiectivum), 수사(numerale), 대명사(pronomen)로 이름지었다. 불변화사 속에는 부사(adverbium), 전치사(praepositio), 접속사(coniunctio), 감탄사(interiectio)가 들어간다. 이런 이름들이 서구어 품사명으로 전수되고 있다.

3.2.  명사 혹은 실명사
  인도유럽어의 공통 특성대로, 라틴어 명사는 성(性)을 가지며, 수(數)로 헤아려지고, 격(格)이라는, 우리말 조사(助詞)에 해당하는 어미변화(declinatio)를 한다.

3.2.1  성(genus): 라틴어 명사에는 남성(genus masculinum), 여성(genus femininum), 중성(genus neutrum) 세 가지 성이 있으며 사람, 생물과 사물이 갖는성을 실제로 혹은 상징적으로 나타낸다: e.g., femina f. '여자', gloria f.'영광', vir m. '사나이', leo m. '사자', donum n. '선물', cor n. '마음'.

3.2.2  수(numerus): 명사는 그 명사가 사물 혹은 사실을 하나 혹은 그 이상을 나타냄에 따라서 단수(numerus singularis)와 복수(numerus pluralis)로 나뉜다. 라틴어 명사에서 단수와 복수를 구분하여 나타내려면 명사의 어미를 바꾸며, 단수와 복수의 어미변화는 규칙적이다: e.g., feminA (여자) - feminAE(여자들), vir (남자가) - virI (남자들이), leonEM (사자를) - leonES (사자들을).

3.2.3  격(casus):  명사가 라틴어 문장 속에 차지하는 역할에 따라서, 주로 문장의 주역인 동사와의 관계에 의거하여 그 명사는 여섯 개의 격으로 나뉜다.
   주격(casus nominativus): 동사의 주체
   소유격(casus genitivus): 이 격은 소유를 나타낸다. "누구의?" 라는 물음에 대한 부가어이지만 특수한 동사의 특수한 객        어로 쓰이기도 한다.
   여격(casus dativus): 동사의 간접 목적어
   대격(casus accusativus): 동사의 직접 목적어.
   탈격(casus ablativus): 이 격은 동사의 간접 목적어나 동사와 부사적인 관계를 갖는 단어를 표시한다.
   호격(casus vocativus): 직접 불리워진 사람을 나타내는데, 동사와는 독립된다. [14]

3.2.4  명사의 어미변화: 라틴어 명사는 상고 인도 유럽어에 고유한 어미변화를 보존하고 있으며, 어미 형태에 따라서 다섯 가지 그룹으로 분류된다. 이를 예거하면 다음과 같다. [15]

                  I                        II                      III                         IV                      V
              unda, ae f.   hortus, i m. labor, oris m.  fructus, us m. dies, ei m.
               물결               정원               노동                    열매                   날

Sg.Nom. und-a        hort-us        labor              fruc-us          di-es
   Gen.     und-ae       hort-i          labor-is                -us              -ei
   Dat.           -ae             -o                -i                 -ui               -ei
   Acc.            -am            -um             -em              -um             -em
   Abl.             -a~             -o               -e                 -u               -e
   Voc.            -a                -e         labor                  -us              -es      

Pl.Nom.         -ae              -i          labor-es              -us             -es
   Gen.           -arum           -orum          -um             -uum          -erum
   Dat.            -is                -is               -ibus            -ibus          -ebus
   Acc.         -as               -os              -es              -us             -es
   Abl.            -is               -is                -ibus           -ibus           -ebus
   Voc.           -ae              -i                  -es              -us             -es

3.3  형용사
  실명사와 마찬가지로 형용사들도 고유한 어미변화를 하며, 수식하는 명사에 성, 수, 격을 일치시킨다. 형용사가 단독으로 쓰이면 언제나 명사의 역할을 하는 것이 라틴어의 특징이다. 형용사의 어미변화는 크게 두 부류로 나누어, 명사 제 1, 2변화에 해당하는 제 1형과 명사 제 3변화에 해당하는 제 2형으로 나누어진다.

3.3.1  형용사 제 1형(prima classis)의 대표적인 어미변화는 다음과 같으며, 명사 제 1변화와 제 2변화와 동일한 어미를 취한다.
  E.g.,    bonus,    bona,    bonum  '선한, 착한'

       sg. m.               f.               n.               pl. m.                 f.                 n.
Nom.     bonus     bona     bonum        boni         bonae       bona
Gen.      boni       bonae    boni            bonorum  bonarum   bonorum
Dat.      bono      bonae    bono           bonis        bonis        bonis
Acc.      bonum   bonam   bonum        bonos       bonas       bona
Abl.      bono      bona      bono          bonis         bonis        bonis

3.3.2  형용사 제 2형의 대표적인 어미변화는 다음과 같으며, 명사 제 3변화와 거의 동일한 어미를 취한다. [16]
  
E.g.        acer,     acris,    acre '날카로운'

           sg. m.            f.            n.          pl. m.                f.                 n.
Nom.        acer     acris    acre        acres       acres      acria
Gen.          acris    acris     acris       acrium    acrium     acrium
Dat.          acri      acri      acri         acribus    acribus   acribs
Acc.         acrem   acrem  acre        acres      acres      acria
Abl.         acri       acri      acri         acribus   acribus   acribus

3.3.3  형용사 비교급과 최상급:  두 사물을 비교하여 그 성질의 등급이 다름을 형용하는 경우에는 비교급(gradus comparativus)이라고 하며, 여럿을 비교하여 어느 한 사물에 가장 뛰어난 성질이 있음을 형용하는 경우에는 최상급(gradus superlativus)이라고 한다. 형용사의 비교급과 최상급은 보통으로 그 형용사 원급의 어간에 일정한 접사를 붙여서 만든다. 형용사 비교급은 형용사 어간에 -IOR m.f., -IUS n. 어미를 붙여 만들고, 어미변화는 형용사 제 2형 변화를 한다. [17]  형용사 최상급은 어간에  -ISSIMUS, A, UM 어미를 붙여 만들고,[18] 어미변화는 형용사 제 1형을 따른다. [19]

3.4  대명사
  로망스어에 현재 사용되는 모든 대명사, 즉 인칭대명사, 지시대명사, 관계대명사, 의문대명사는 라틴어에서 유래한다. 어미 변화 형태나 용법상으로는 명사와 형용사를 겸하고 있다.
3.4.1  인칭대명사는 인도유럽어 고유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그러나 동사의 어미로 미루어 주어가 어느 인칭인지 추측할 수 있으므로 주격은 자주 생략되며, 굳이 주격 인칭대명사 ego, tu, nos, vos, se 가 문장에 나올 때에는 뜻을 명확히 하거나 강조하기 위함이다. [20]

3.4.2  지시대명사는 사람이나 사물을 지적하는 구실을 한다. 라틴어에서 지시대명사로 꼽는 것은 다음 여섯 가지이다:
     hic,    haec,     hoc      이 사람, 이것
     ille,     illa,        illud     저 사람, 저것
     iste,    ista,      istud    (상대방 근처) 그 사람, 그것
     is,       ea,         id        저것, 그, 그녀, 그것 (3인칭 대명사)
     idem,  eadem,  idem    같은 그 사람, 같은 그 여자, 같은 그것
     ipse,   ipsa,      ipsum   그 사람 자신, 바로 그 사람,

3.4.3  의문대명사와 관계대명사는 형태도 유사하고 어미변화도 동일하며, 형용사의 용법을 겸하기도 한다. [21]
  의문대명사: quis? m.f.  quid? n. '누가?' '무엇이?'
  의문형용사: qui

qui...? m. quae...? f. quod...? n. '어떤 ....이?'
  관계대명사: qui m., quae f., quod n.

3.5  동사
  동사는 구조상으로 단연 한 문장 전체의 으뜸가는 품사로서, 문장의 주어에 대하여는 어떤 것을 주장, 서술하면서 다른 모든 품사들을 지배한다. 라틴어 동사는 주어의 수와 인칭에 따라서 어미활용(coniugatio)을 한다. 그리고 두가지 형태(形態)와 네 가지 서법(敍法)과 여섯 가지 시제(時制)를 가지고 있어서 산스크리트어 및 그리스어와 더불어 가장 논리적이고 정확한 언어로 꼽힌다.
  라틴어 동사는 어간에 준한 어미활용에 따라서 네 가지 부류로 나누어진다. 일반 사전에 배치되는 형태를 예거하면 다음과 같다:
제 1활용 동사      LAUDO, laudas,    laudavi,  laudatum,  laudARE '칭찬하다'
제 2활용 동사      MONEO, mones,  monui,   monitum,   monERE  '권유하다'
제 3활용 동사      REGO,    regis,     rexi,      rectum,      regERE  '군림하다'
제 4활용 동사      AUDIO,  audis,     audivi,   auditum,     audIRE  '듣다'
                     능동태현재1인칭, 2인칭      현재완료  과거분사     

3.5.1  형태(vox): 동사의 면모를 가리키는 것으로, 라틴어에는 주어가 행위를 함을 표현하는 능동태(vox activa)와 주어가 행위를 받음을 나타내는 수동태(vox passiva) 두 종류가 있다. 어미로 구분된다:
 E.g.,  laudare 칭찬하다,               laudari 칭찬받다
         laudat 그는 칭찬한다,         laudatur 그는 칭찬받는다.
         laudavisti 너는 칭찬하였다, laudatus es 너는 칭찬받았다.

3.5.2  서법(modus): 동사로 나타내는 행위의 성격, 혹은 말하는 사람이 서술하는 행위에 대해서 갖는 입장을 드러내는 양상이다. 라틴어는 직설법, 접속법,명령법, 부정법 네 서법을 가지며, 그에 따라서 동사 어미와 시제, 인칭이 각각 다르다.

3.5.3  직설법(modus indicativus): 사실을 단순하게 서술하는 화법, 또는 서술된 내용이 그대로 참임을 서술하는 화법이다. 직설법과 접속법은 고유한 시제(과거, 현재, 미래)와 인칭 (나, 너, 그)과 수(우리, 너희, 그들)에 따라서 동사의 어미를 바꾼다. 이하에는 먼저 직설법의 시제들을 예시한다.

3.5.4  시제(tempus): 고대 인도유럽어 동사의 시간 구분은 어느 행동이 완료되었느냐, 미완료냐는 시상(時相 aspectus)을 근간으로 하였고(E.g., do, dedi; sum, fui; fero, tuli), 현시점을 중심으로 과거와 미래를 바라보는 구분은 후대에 생겼다. 서법과 시제에 따른 동사의 모든 어미는 인칭과 수에 따라 각기 그 형태를 달리한다. 따라서 라틴어의 가장 대표적인 시제는 능동태 직설법 현재와 현재완료라고 하겠다.

3.5.5  능동태와 수동태 미완료 시제의 기본 어미는 다음과 같다:

미완료        능동태                       수동태
                s.             pl.                s.                   pl.
1인칭    -O/-M     -MUS           -R                 -MUR
2인칭    -S            -TIS              -RIS/-RE       -MINI
3인칭    -T            -NT             -TUR            -NTUR

직설법 능동태 현재를 예로 들면 그 어미변화는 다음과 같다:
            SUM      LAUDO     VIDEO     REGO      AUDIO
Sg. 1  sum        laudo          video        rego          audio
    2    es           laudAs       vidEs         regIs         audIs
    3    est         laudat         videt          regit          audit
Pl. 1   sumus    laudamus    videmus     regimus     audimus
    2    estis      laudatis       videtis        regitis        auditis
    3    sunt       laudant       vident        regunt        audiunt

3.5.6  능동태 현재완료 시제의 기본 어미
            단수        복수
1인칭    -I          -MUS
2인칭    -STI     -STIS
3인칭    -T        -ERUNT/-ERE

직설법 능동태 현재완료의 어미활용을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22]
       SUM        LAUDO      MONEO         REGO       AUDIO
Sg. 1  fui         laudavi            monui              rexi           audivi
    2    fuisti      laudavisti        monuisti           rexisti        audivisti
    3    fuit        laudavit          monuit              rexit          audivit
Pl. 1   fuimus   laudavimus     monuimus         reximus     audivimus
    2    fuistis    laudavistis      monuistis          rexistis       audivistis
    3    fuerunt  laudaverunt    monuerunt         rexerunt     audiverunt

3.5.7  라틴어 시제에는 미완료형 시제가 셋, 완료형 시제가 셋 있는 셈이다.
-. 현재(praesens): 지금 있는 행위나 항상 있는 행위를 가리킨다.
-. 반과거(imperfectum): 과거 당시에 어떤 행동이나 사실이나 상태가 아직 완전히 끝나지 않고 계속되고 있었음을 표시한다. 과거의 진행, 반복, 상황,과거의 어떤 사실에 대한 동시성을 함축한다.
-. 현재완료(perfectum): 과거에 어떤 행위가 완료되었음(그 결과가 지금 남아있다)을 표시하거나, 그 행위가 단순히 한번 있었다(현재와 관련이 없다)는 것을 표시한다.
-. 과거완료(plusquamperfectum): 과거의 어떤 사실과 비교하여 더 먼저 완료되었거나 발생하였음을 표시하며 현재완료와 연관하여 사용될 따름이다. 과거 완료와 현재완료의 관계는 반과거와 현재의 관계에 유사하다.
-. 미래완료(futurum exactum): 미래의 어떤 사실과 비교하여 더 먼저 완료되었거나 발생하였음을 표시하고, 단순 미래와 연관하여 사용된다.
-. 미래(futurum): 현재나 과거에 대하여 단순히 장차 있을, 또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을 표시한다.

3.5.8  여섯 시제에 따른 어미활용의 기본형태는 위의 현재 어미와 현재완료 어미 앞에 그 시제를 나타내는 고유한 접사를 붙여서 만든다.

반과거 :    [어근] + [모음어간] + [시제접사 -BA-] + [어미]
미래   :     [어근] + [모음어간] + [시제접사] + [어미]
과거완료: [어근] + [모음어간] + [완료접사 -VE-] + [시제접사 -RA-] + [어미]
미래완료: [어근] + [모음어간] + [완료접사 -VE-] + [시제접사 -RA-] + [어미]
E.g.,           LAUDO                       DELEO                       REGO                        AUDIO
반과거       LAUD-A-BA-MUS         DEL-E-BA-MUS          REG-E-BA-MUS         AUD-IE-BA-MUS 
미래           LAUD-A-BI-MUS          DEL-E-BI-MUS           REG-A- MUS             AUD-IE-MUS
과거완     LAUD-A-VE-RA-MUS   DEL-E-VE-RA-MUS     REC-S-E-RA-MUS     AUD-I-VE-RA-MUS
미래완료     LAUD-A-VE-RI-MUS    DEL-E-VE-RI-MUS      REC-S-E-RI-MUS      AUD-I-VE-RI-MUS

3.5.9  접속법(modus coniunctivus): 화자의 의향과 추측, 가정과 희망 그리고 조건을 곁들이는 화법이다. 복합문의 경우, 종속문에 많이 쓰인다. 로마인들은 객관적 서술을 중시하였으므로 단문에서도 화자편에서 명확치 않은 것을 말할 때에는 접속법을 흔히 사용한다. 접속법 어미활용은 직설법의 완료시제와 미완료 시제, 능동태와 수동태의 어간과 어미에 준하지만 접속법을 나타내는 모음이나 접사가 첨가된다는 점이 다르다. 그리고 이 서법 자체가 희망과 염원을 나타내는 미래지향적인 것이므로 미래 시제가 따로 없다. 즉 접속법에는 미래와 미래완료 시제가 없다.

3.5.10  접속법의 능동태 각 시제를 만드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현재:  미완료 어간에 -A-를 붙인다(제 1활용동사는 어간모음이 -E-로 대체)
반과거: 미완료 어간에 -RE- 접사를 붙인다.
현재완료: 완료어간에 -RI- 접사를 붙인다.
과거완료: 현재완료 어간에 -SE-를 붙인다. [23]
E.g.
   현재                   반과거                   현재완료                     과거완료
 LAUD-E-MUS      LAUD-A-RE-MUS    LAUD-A-VE-RI-MUS     LAUD-A-VI-IS-SE-M
 MON-E-A-MUS   MON-E-RE-MUS     MON-U-E-RI-MUS         (DEL-E-VI-IS-SE-M)
 REG-A-MUS        REG-E-RE-MUS      REG-S-E-RI-MUS          REC-S-IS-SE-M(REXISSEM)
 AUD-I-A-MUS     AUD-I-RE-MUS       AUD-I-VE-RI-MUS        AUD-I-VI-IS-SE-M

3.5.11  명령법(modus imperativus): 화자가 어떤 행위를 명령하고 권고하고 부탁하는 화법이다. 명령법 형태는 능동태와 수동태, 시제로는 현재와 미래가 있다. 동사 어근에 일정한 형태의 어미를 붙여서 명령어를 만든다. [24]

                        능동태         수동태
현재  단수 2인칭   [어간 그대로]  -RE
          복수 2인칭   -TE                   -MINI
미래  단수 2인칭   -TO                 -TOR
      단수 3인칭        -TO                -TOR
      복수 2인칭       -TOTE             ----
      복수 3인칭       -NTO             -NTOR

3.5.12   부정법(verbum infinitum): 동사가 형태와 시제를 함축하지만, 인칭을 정하여 표시하지 않음으로써 명사나 형용사로 쓰이는 경우이다. 라틴어에서는 부정사, 분사, 동명사, 목적분사, 수동형 당위분사 등 다섯 가지 형태를 볼수 있다.
  우선 동명사(gerundium)는 동사가 명사의 형태로 격들을 다 갖는 용법이다. 주격과 대격밖에 없는 부정사의 기능을 보완하여  속격, 여격, 탈격, 특히 전치사를 갖는 대격과 탈격을 나타낼 수 있어서 동사의 명사적 용법을 남김없이 발휘한다.

E.g. AMARE  amandi, amando, amandum, amando
        nom.        gen.      dat.         acc.          abl.

  그리고 당위분사(gerundivum)는 분사의 한 형태이지만 수동형과 미래시제 또는 당위성을 함축하는데 라틴어에만 있다.

E.g. AMARE - amandus, amanda, amandum
             '사랑받아야 할' [남자, 여자, 사물]

  또 목적분사(supinum)는 특정한 동사의 목적어로 쓰이는 명사용법으로서, 능동과 수동의 형태만 남아 있다.

E.g. AMARE - amatum (사랑하기 위하여), amatu (사랑하기 좋은)

3.5.13  부정사(infinitum verbum): 능동과 수동의 형태, 과거와 현재와 미래의 시제는 표현하지만 인칭과 수를 표시 않고 불변화 명사로 쓰인다. 따라서 어엿한 문장을 이루기도 하고, 또한 주문 동사의 객어나 주어 역할을 한다.[25]

-. 현재 부정사: 현재 부정사는 주문의 사건과 동시성(同時性)을 갖는 것으로, 어근에 -SE(능동태 e.g. es-se, *vel-se > velle, *fer-se > ferre), 혹은 -I(수동태) 어미를 붙여서 만든다.

              칭찬하는 것        권고하는 것       군림하는 것     듣는 것
능동태  laud-are          mon-ere         reg-ere        aud-ire
수동태  laud-ari           mon-eri          reg-i            aud-iri
              칭찬받는 것        권고받는 것       다스림받는 것   응락받는 것

-. 과거 부정사: 주문의 사건보다 앞서는 선행성(先行性)을 나타내며, 능동태는 어근에 -IS-SE를 붙여 만들고 수동태는 동사의 과거분사에 SUM 동사 부정법 ESSE 를 붙여서 만든다.

            칭찬한 것           권고한 것         군림한 것          들었던 것
능동태  laud-avisse          mon-uisse         rex-isse               aud-ivisse
수동태  laudatum esse      monitum esse     rectum esse        auditum esse
             칭찬받은 것       권고받은 것       다스림받은 것   응락받은 것

-. 미래 부정사: 주문의 사건보다 늦게 발생할 후속성(後續性)을 표현하는데,능동태는 -TURUM ESSE, 수동태는 -TUM IRI 라는 복합형태를 띤다. [26]

3.5.14   분사(participium): 동사가 능동과 수동의 형태, 과거와 현재와 미래의 시제를 표현하지만 형용사의 어미를 취하면서 명사, 형용사의 역할을 한다.

E.g. amans,      amatus,      amandus,            amaturus
    사랑하는,    사랑받은,   사랑받아야 할,   사랑하게 될
   [현재.능동] [과거.수동]   [미래.수동]         [미래.능동]
      amatus,          amata,          amatum
    사랑받은[사람],  사랑받은[여자]  사랑받은[물건]

3.6  부사
  불변화사의 하나인 부사는 동사에 직속되어 동사로 표현되는 행위를 제한하는 품사로서 라틴어에서 부사는 그것이 수식하는 단어 앞에 오는 것이 일반적인 법칙이다. 부사는 주로 형용사나 동사의 분사에서 유래하지만 일단 정해진 형태는 문장 속에서 불변한다. 넓은 의미로는, 동사의 직접 객어나  간접객어(속격, 여격, 탈격 객어)가 아니면서 동사와 직접 연관되는 문장의 모든 구성소를 부사어(adverbiale)라고 부른다. 언어발달사의 관점에서 보면 전치사와 접속사 및 그 합성어는 모두 부사어다: e.g. ad portam '문 옆에', circa sextam '여섯시경'

3.6.1  라틴어에서 원래 부사로 사용하는 어휘들이 있지만,[27]  많은 경우 형용사와 대명사에 일정한 어미(예: -E 혹은 -TER)를 붙여 부사를 파생시킨다.[28] 부사에도 비교급과 최상급이 있음은 당연하다.[29]

3.7  전치사:  라틴어에서 전치사는 규제하는 명사를 대격 또는 탈격으로 지배하며, 대격과 탈격을 둘다 지배할 경우에는 의미상의 차이가 있다. 전치사는 장소와 시간, 관계 등을 폭넓게 표현한다. PER를 예로 든다면:
   장소: 지나서       per hostium turbam 적군의 무리를 통과하여
   시간: 동안         per tres dies 사흘 동안
   관계: 통해서       per speculatores rem cognovit. 척후병들을 통해서
사태를 알아냈다.

3.8  접속사:  단어와 단어, 문장과 문장을 이어주는 품사로서 매우 다양한 용도를 보인다. 동등접속사는 "그리고(et)"라던가 "그러나(sed)"라던가 "혹은"(vel)이나 "그러므로(ergo)"처럼 동등하게 양편을 접속시킨다. 그리고 하나의 문장을 다른 문장에 종속시키면서 이어주는 접속사들이 있는데, 그 접속사로 이루어지는 종속문은 화자의 의도에 따라서 목적문(ut, ne), 결과문(ut, ut non), 시간문(cum, ubi, dum), 비교문(sicut, quam), 이유문(quia, cum), 조건문(si, nisi), 양보문(quamquam, quamvis) 등으로 나누어진다.

3.9  감탄사:   문장 구조상 동사에 종속되지 않는 품사이며(그래서 동사와 나란히 위치하는 유일한 품사이다), 주격 명사와 함께 쓰이거나 대격 명사와 함께 쓰인다. [30]


4.  통사론

4.1  어휘: 라틴어 어휘들이 인도유럽어 계보상으로는 다른 언어들과 친족관계를 보임은 당연하며, 라틴어 기본어휘를 근접어들과 대조해 보면 게르만어와는38 퍼센트, 고대인도어와는 35 퍼센트, 켈트어와는 27 퍼센트가 공통된다고 한다. 그러나  그 전파나 파생에 있어서 생각보다는 타언어들(예를 들어 그리스어)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고 고유한 발전을 하였고 고유한 어휘를 보존하였다고 평가된다.
  그리고 로마인들은 구상적 감각이 뛰어난 사람들이어서  그 어휘 사용이 추상적이기보다는 구체적인 특성을 갖는다. 명사보다는 동사를 즐겨 사용한다.[31] 그리고 문장가들은 순수하고 정확한 어휘에 마음을 많이 썼으므로, 키케로 같은 인물은 서간 등에는 (이미 쓰이지 않는)고어, 외래어, 신조어를 자주 구사하지만 연설문과 산문에서는 그런 어휘를 극력 피하여 고유 어휘를 애용하였다. [32] 그 대신에  시어(詩語)에서는 지극히 자유스럽고 희귀하고 심미적인 어휘들이 풍부하게 구사되었고, 시인들에게는 파격적인 용법도 용납되었다.

4.2  문장 속의 어휘의 순서: 라틴어는 형태어(形態語)이므로, 라틴어 문장 속의 모든 요소들은 어미(語尾)에 의해서 통사관계가 확정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동사는 그 어미에 형태, 서법, 시제, 인칭, 수가 확정되어 있고, [33] 명사들은 (위치가 아니라) 그 어미의 형태에 의해서 동사와의 관계, 즉 주어, 간접객어, 보어임이 뚜렷하게 밝혀진다. 형용사 역시 수식하는 명사와 성과 수와 격을 일치시키기 때문에, 수식하는 명사 바로 곁에 있지 않아도 어느 명사를 수식하는지 식별된다. [34]

4.2.1  그러므로 문장에서 주어가 생략되거나 동사가 주어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어도 동사의 어미를 보고서 능동형과 수동형, 시제, 주어의 단수와 복수, 인칭을 식별할 수 있다.
예컨데, "쇠에 녹이 슨다"(= 녹이 쇠를 못쓰게 만든다)는 문장이 라틴어로 표현되면, 다음 세 가지 문장 구성이 다 가능하다:
   ferrum rubigo consumit.
   rubigo ferrum consumit.
   consumit ferrum rubigo.

4.2.2  형용사는 그 수식하는 명사와 성, 수, 격(변화는 아님)을 일치시킨다:

e.g. pulchrarum puellarum '아름다운 소녀들의', amicos vestros '너희 친구들을', ducem audacem '용감한 장수를', virtute celebri '탁월한 덕으로',bono agricolae '선량한 농부에게', omnes populi '모든 백성들이', summum montem '높은 산을'.

그런데 성수격이 일치되어 있으면, 형용사가 수식하는 명사로부터 떨어져 있어도 어미를 보고 그 형용사가 어느 명사에 속하는지 맞추어 해독할 수 있다. 시문의 한 구절(Martialis 1.13)을 보면 품사 배열이 얼마나 자유스러운가 알 수 있다: [35]

[원문] Casta       suo            gladium  cum traderet   Arria       Paeto...
[직역] 순결한,  자기 [남편]에게, 검을,        건네주면서,        아리아가,   파이투스에게
[의역] "순결한 아리아는 검을 자기 남편 파이투스에게 건네주면서..."

4.2.3  그렇지만 일반적인 규칙이 없는 것은 아니다. 우선, 라틴어 문장에서는 첫 단어가 가장 강조되며, 마지막 단어도 상당한 강도를 띤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말해서, 문장은 주어, 객어, 술어의 순서로 배열된다. 위의 경우 두 번째 문장 (rubigo ferrum consumit)이 전형적이다.
  부정사(否定辭)는 부정하는 어휘 앞에 놓인다(e.g., auriga non piger '서툴지 않은 마차수').
  전치사는 수식어 앞에 놓인다(e.g.,  pro patria '조국을 위하여', in urbe '도성에서').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의 경우, 성질형용사는 명사 앞에 오고(e.g., quaedam magni fluminis ripa, bono animo esse), 한정형용사는 명사 뒤에 온다(e.g.pontifex maximus, praetor urbanus) . 그러나 음절이 많아 기다란 형용사와 명사에서 파생된 형용사는 명사 뒤에 두는 것이 관례이다 (e.g. casu incredibili, di immortales, populus Romanus, bellum Punicum). 또 소유형용사는 명사 뒤에(e.g. amicus meus, hospes vester), 지시형용사는 명사 앞에 둔다(e.g.hic homo, in eam sententiam).
  고전 명문장들을 분석해 보면, 관계문, 간접의문문, 목적문, 결과문은 주문 뒤에 놓이고, 시간문, 이유문, 조건문, 양보문은 주문 앞에 놓여 있다.

4.3  문장의 해독: 라틴어에서는 진술문장, 소원문장(명령문 포함), 의문문장 어느 것이나 문장의 주역은 단연 동사 곧 술어(praedicatum)이며 술어는 주어(subiectum)의 행위나 존재 양상을 표현한다.

4.3.1  라틴어 통사론의 주요 학습은 한 문장을 구성하는 품사들의 통사관계를 배우는 일이다. 문장의 주역인 동사의 형태, 서법, 시제의 구체적인 용법을 익히고, 명사에 관해서는 주격, 소유격, 여격, 대격, 탈격의 객어적 용법과 부가어 또는 부사어 용법을 숙달하는 작업이 된다.

4.3.2  라틴어 고전문장의 해독에는  기능주의(L.Tesniere, A.Martinet, H.Happ)의 구조적 분석을 따르면 매우 편리하다. 이 해독법은 동사를 주역으로 삼고 나머지 품사들을, 동사와 결부되는 한, 모두 동사의 보어(complementum)로 처리한다. 다만, 이러한 문장분석에서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 소유격 명사 등은 동사와 직접 관련이 없으므로 별도로 처리한다. [36]

  C 1    주격: 주어
         vertitur... caelum. "하늘이 기울다."
  C 2    소유격: 동사가 소유격을 간접객어로 지배하는 경우
         vivorum memini. "나는 산 이들을 생각한다."
  C 3    여격: 간접객어 또는 동사가 여격을 직접객어로 지배하는 경우
         favit Minerva Graecis. "미네르바여신은 그리스인들을 편들었다."
  C 4    대격: 직접객어
         suadentque cadentia sidera somnos. "저물어가는 성좌는 단잠을 재촉하누나."
  C 5    탈격: 간접객어 또는 전치사 없이 나오는 탈격
         vescimur bestiis et terrenis et aquatilibus et volatilibus.
         "우리는 뭍짐승과 물고기와 날짐승들을 잡아먹고 산다."
  C 6    부사어: 전치사와 더불어 나오는 명사
         illa res ad officium meum pertinet. " 그 일은 내 직무에 속한다."
  CL     부사: 원래의 부사 또는 파생부사 또는 부사문
         Titus cito fugit ab urbe. "티투스는 급히 도성에서 달아났다."

                             Verbum

    C 1        C 2     C 3       C 4       C 5       C 6       CL

4.4.  복합문: 로마 문장가들은 여러 복합문을, 그것도 여러 종속문을 조화있게 거느리는 문장을 즐겨 구성한다. 그러므로 라틴어를 익히면 익힐수록, 속문에 속문이 따르는 여러 등급의 복합문들을 많이 보게 되고, 한 페이지 가까운 기다란 내용 마지막에 마침표가 찍혀 있음을 보는 수가 많다. 중급 라틴어의 문법은 거의 모두 동등문(propositiones coordinativae), 종속문(propositiones subordinativae)의 구조분석과 그 해독법을 다루고 있다.

4.4.1  키케로 같은 문장가의 글은, 주문과 속문이 얽혀 구성된 수사법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서 다음 문장에는 주문에 따르는 1급 속문이 두번에 걸쳐 끊기면서, 2급 속문과 주문이 삽입되어 있다.

  ille sapientissimus vir, Ithacam ut videret, immortalitatem scribitur     repudiasse.
    [2 : 주어문]                      [3:  목적문]                     [2]                        [1 주문]        [2]
  "그 지혜로운 사람은, 이타카를 보고 싶어서, 불사의 선물도 거절하였다고  전한다."

이런 문장은 초보자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복원하여야 해독이 쉬울 것이다. [37]
1 주문    scribitur
2 주어문  ille sapientissimus vir immortalitatem repudiasse,
3 목적문  ut Ithacam videret.

4.4.2  R.Coleman (in Combrie ed., World Major Languages[      ], 198)은 아래와 같은 고전문장을 예거하여 종속문들의 구성과 등급을 보여 주고 있다.


이 글에서 주문은 (1)로 표기된 Postero die flumen transgressus est("이튿날 그[카이사르?]는 강을 건넜다") 이고 주문의 속문으로 부사문인 이유문(2)과 목적문(5) 둘이 나온다. 이유문에는 객어문(3), 그 객어문에 속하는 관계문(4)이 하나씩 속해 있고, 목적문에도 부가어문(6) 하나, 부가어문에 절대문사문(7)이 속해 있다. 주문이 둘로 끊어져 있고, 다른 등급의 문장들도 끊어져 속문들을 삽입시키는 구조가 고전문장의 수사학적 절묘함을 보여준다. [38]

1 주문   (1) Postero die,
2 이유문     (2)  quom per exploratores cognovisset
3 객어문          (3)  quo in loco hostes
4 관계문               (4)  qui Brundisio profecti erant
3 객어문          (3)  castra posuissent,
1 주문   (1) flumen transgressus est,
2 목적문                   (5)  ut hostis,
3 부가어문                   (6)  extra moenia vagantes
                                    (6)  et
4 절대분사문                    (7)  nullis custodibus positis
3 부가어문                   (6)  incautos,
2 목적문                   (5)  ante solis occasum aggrederetur.

번역:
"(1) 이튿날 [그는] (4) 브룬디시움을 떠난 (3) 적군들이 어느 장소에 (3) 진지를 구축하였는지 (2) 정탐군들을 통해서 알아냈으므로, (6) 철책밖에서 서성거리는 (5) 적군들을, (6) 또 (7) 아무 보초도 세우지 않고 (6) 경계를 소홀히 하는 [적군들을] (5) 해가 지기 전에 기습할 생각으로, (1) 강을 건넜다."


                     참고 문헌

* 라틴어 연구를 위하여 대학 도서관에 비치할 만한 도서들을 소개한다면 다음과 같다.

W.S.Allen (1975), Vox Latina: A Guide to the Pronunciation of Classical Latin, 2 ed., Cambridge, Univ. Press
M.Bonioli (1962), La pronuncia del latino nelle scuole dall'antichita alrinascimento, vol.I, Torino, Univ. di Torino
C.D.Buck (1928), A Grammar of Oscan and Umbrian, Boston, Ginn
J.Collart (1967), Histoire de la langue latine, Paris, Univ.de France
A.Ernout (1953), Morphologie historique du latin, 3 ed., Paris, Ed.Klinc ksieck
A.Ernout-A.Meillet (1979), Dictionnaire etymologique de la langue latine,4 ed., Paris, Ed.Klincksieck
A.Ernout-F.Thomas(1989), Syntaxe Latine, 2 ed., Paris, Ed.Klincksieck
R.G.Kent (1945), The Sounds of Latin, Baltimore, Linguistic Soc. of America
R.G.Kent (1946), the Forms of Latin, Baltimore, Linguistic Soc. of America
A.Meillet-J.Vendryes(1979), Traite de grammaire comparee des langues classiques, 5 ed., Paris, Honore Champion
M.Niedermann (1953), Precis de phonetique historique du latin, 3 ed.,Paris, Champion
L.R.Palmer (1954), The Latin Language, London, Faber and Faber
A.Paredi(1968), Thesaurus. Grammatica Latina, 5 ed., Milano, Le Stelle
V.Pisani (1962), Grammatica latina storica e comparativa, 3 ed., Torino,Rosemberg & Fellier
V.Pisani (1964), Le lingue dell'Italia antica oltre il latino, 2 ed.,Torino, Rosenberg & Fellier
F.Sommer (1914), Handbuch der lateinischen Laut- und Formenlehre, Lepzig,Carl Winter
F.Stolz (1928), M.Leumann-J.B.Hoffmann-A.Szantyr eds.(1963-72), Lateinische Grammatik, 2 vols., Munchen, C.H.Beek
F.Stolz-A.Debrunner-W.P.Schmid (1966), Geschichte der lateinischen Sprache, Berlin, Walter de Gruyter
C.Tagliavini (1962), Fonetica e morfologia storica del latino, 3 ed.,Bologna, Patron
A.Traglia (1950), La flessione verbale latina, Torino, Univ. di Torino
A.Traina (1962), L'alfabeto e la pronunzia del latino, 2 ed., Bologna,Patron
E.C.Woodcock (1958), A New Latin Syntax, London, Methuen

* 현재까지 우리말로 간행된 라틴어 문법서는 다음과 같다.
허창덕 (1965), 初級 羅典語, 서울, 가톨릭출판사
허창덕 (1962), Syntaxis linguae Latinae 라틴어 문장론, 서울, 가톨릭출판사
배제민 (1978), 라틴어 文法, 서울, 기독교문사
차영배 (1984), 라틴어 敎本, 서울, 총신대출판부
신익성 (1986), 라틴어: 입문에서 완성까지, 서울, 과학사
김광명 편역 (1991), 大學 LATIN 語, 대구, 대구가톨릭대학
성  염 (근간), 古典 라틴어, 서울, 서광사



              각    주

[1] E.g., J.Pokorny [1959], Indogermanisches etymologisches Worterbuch,Munchen). 몇몇 단어만을 보더라도 이 학자들의 작업에 수긍이 간다:
  '아버지': SK pitar-, GR pater, LL pater, Got fadar
  '새로운': SK nava-h, GR neo-s, LL novo-s
  '100'   : SK satam,  GR he-katon, LL centum, Got hund
  '이다'  : SK as-ti,  GR es-ti, LL es-t, Got is-t

[2] 이탈리아반도에서 통용된 언어 중 반도 북동부에서 쓰인 베네티어(Lingua Veneta)도 있지만 이탈리아어군에 들지 않고, 또 알파벳이 그리스어와 흡사한에트루스키어(Lingua  Etrusca)는 인도유럽어계에도 들지 않은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3]  두 모음 사이의 S는 라틴어에서 R로 전화하지만 모음 앞에 있는 S는 파열음으로 연화하면서 그리스 알파벳 Z를 도입하게 되었다. 그리고 C, G 는 음운 발생으로는 동일하여 고대비문에는 C밖에 나타나지 않는다. 경음으로는 C, 연음으로는 G가 발생한다. 후대에도 비석문에는 Caius, Gaius가 구분없이 C.로 표기된다.

[4] E.g. acies, ago, ager: ma~ter, fra~ter, fa~ma // ego, genus, est: fe~mina, fe~cit, ple~nus // hic, video, cinis: vi~s, vi~vus, qui~nque //octo, ovis, potis: do~num, o~cior, no~tus // ruber, lubet, iuvenis: mu~s,fu~mus, lu~na. 라틴어 사전에는 장모음이 표기되어 있다.

[5] 인도유럽어에 있던 반모음(半母音)이 라틴어에도 흔적을 남기고 있다.  반모음 i : 단어 첫머리에 나오는 것은 후대에 j로 표기되어 잔존하였고(e.g.iugum, ius, iubeo, iecur), 모음 사이에서는 예외를 빼고는 탈락하였으며(e.g.medius, dies, alius), 자음 뒤에서는 존속하였다(e.g. peius, maius, eius).
  반모음 u : 라틴어에 그대로 살아있어서, 단어 첫머리와 모음 사이에서는 순치음[w = v]으로 발음되고 (e.g. video, veho, vicus, novus, ovis), 다른 경우도 약간은 잔존하고 있다(e.g. svesco, svavis, fervere, servos, quattuor).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대개 탈락하였다.

[6]  이 분절음소표를 입체적으로 제시한다면 다음과 같다.

                occlusivus   fricativus  nasalis  lateralis  semi-vocalis
labialis           p    b      ph           m                   [w]
labio-dentalis                 f     v
dentalis           t    d      th           n       l    r
alveolaris                     s                                [j]
palatalis          c    g      kh
labio-velaris      kw   gw
gutturalis                     h

[7] 무성음들의 발음에 있어서 [쁘, 뜨, 끄]가 좋은가, [프, 트, 크]가 좋은가는 유럽에서도 라틴어학자들 사이에 논란이 있으나, 로마 희극작가들의 의성어 말장난이라던가, 라틴계언어들의 현존하는 발음법으로 미루어 된소리가 더 정확한 것으로 여겨진다.

[8] Qu-, gu-의 발음: 고대 인도유럽어에 있던 순연구개음(脣軟口蓋音 labio-velaris) qw-, gw-가 라틴어 몇몇 단어에서 본모습을 간직하고 있는데, 단자음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언제나 모음과 함께 쓰인다: quis, quod, quattuor,sequor, linquo, lingua, unguis, pinguesco. 현존 라틴계 사람들의 발음 방식으로 미루어, quis를 발음할 때에 한 음절로 발음하되 [쿠비스]보다는 [쿠이스]나 [퀴스]에 가깝게 소리내는 편이 쉽고, lingua 역시 둘째 음절을 [그바]보다는 [구아]나 [과]로 발음함이 좋다.

[9] 무성음으로 알려진 H 문자에는 내력이 복잡하다. 라틴어 초기에는 독일어ch에 가까운 후두음이었고, 플라우투스(251-184) 시대에는 전혀 발음되지 않았으며, 키케로 시대에는 h 소리를 내는 것이 교양인의 발음법으로 통하여 엉뚱한 단어까지 h 소리를 붙이는 폐단이 생겼다(Catullus, 84). 폼페이 폐허에서는 원래 h가 들어가는 단어에서마저 h가 탈락될만큼 철저히 무음화되었음을 보여 준다. 고전 라틴어가 키케로 시대를 표준으로 한다면 h는 발음되어야 할 것이다(Varro, De lingua Latina fr.77).

[10]  라틴어 음절 구분은 대략 다음의 기준에 의한다:
1. 모음 사이의 자음은 뒤에 오는 모음과 함께 발음된다: e.g., po-no, ha-be-o, cae-lum, a-quae-pau-per.
2. 모음 사이의 두 자음이 있을 때 앞의 자음은 앞의 모음과 뒤의 자음은 뒤의 자음과 함께 발음된다: par-vus, aes-tas, N.B. pa-tri-a, pu-bli-cus.
3. 모음 사이에 셋 이상의 자음이 있으면 처음 두 자음은 앞에 있는 모음에, 세번째 자음은 뒤에 나오는 모음에 붙인다: ins-tar, sanc-tus, temp-to.
N.B. ob-scu-ra, ma-gis-tri, tem-plum, os-tre-tum.

[11] 상고시대의 라틴어는 두음강세(頭音强勢)였던 것으로 전한다. 기원전 2세기부터 그리스어 악센트가 도입되면서, 전대에 내려오던 강음 표현과 운율에 쓰이던 고음 표현을 절충하여 고전 라틴어 악센트가 확립된 것으로 보인다. cum pars verbi aut in grave deprimitur aut sublimatur in acutum (De lingua Latina 210.10-16).

[12] 라틴어에서는 '마지막 음절'과 '끝에서 세번째 이상의 음절'에서는 악센트가 발생하지 않는다. 만약 고전에 나오는 구어체 문장에서 마지막 음절에 악센트가 붙는 경우가 있는데 생략형이라서 그렇게 된 것이다: addic (addice),perduc(perduce), audit(audivit), istic(iste-ce), illuc(illo-ce).

[13] 스콜라 라틴어 발음을 대강 소개한다.
1) 알파벳은 J (iod), U (u)이 첨가되어 25자이다.
2) 단모음의 장단은 고전 라틴어와 동일하다. 따라서 악센트의 <두 음절 법칙>도 같다.
3) 중모음 ae과 oe가 e로 읽힌다: aedes [애데스], moenia [매니아].
4) 자음 중에서 구개음(c,g)이 뒤에 오는 모음(e,i)에 따라서 파찰음(affricata)으로 변한다:  c + e [체], c + i [치], g + e [제], g + i [지].
E.g., cella [첼라], cibum [치붐], Caesar [체살], coelum [첼룸], genu [제누], Gigas [지가스], agimus [아지무스].
5) 중자음 gn는 비음으로 읽는다: gnatus(〉natus) [냐뚜스],  ignis [이니스],cognosco [꼬뇨스꼬], agnus [아뉴스].
6) 특히 ti 다음에 모음이 나오는 경우에 t와 ts의 중간 소리를 낸다: sapientia, gratiae, pretii, actio, vitium.
그러나 ti 음절에 악센트가 있거나(toti'us, propheti'a), ti 앞에 s,x 자음이 중첩되면(bestia, mixtio, istius, Christianus)  본래의 음가를 살린다.
7) 무음으로 통하는 h는 모음 앞에서 후음의 음가를 가지며(E.g., homo [호모],humilis [후밀리스], inhumanus [인후마누스]), 따라서 다른 중자음에도 영향을 준다: ch[크], ph [f], th [트].

[14] 이상의 격들을 갖춘 예문을 들어 본다:
  Amice, agricolae faenum  dant   vaccis    in agro.
  벗이여, 농부들이  꼴을   준다 암소들한테  들에서
  [호격]  [주격]   [대격]         [여격]    [탈격]
  "벗이여, 농부들이 들판에서 암소들에게 먹이를 주고 있구나!"

[15]  명사들의 어미변화는 인도 유럽어(많은 경우는 여덟 가지까지 있었다)의 공통된 특성이었다. 인도 유럽어의 가장 기본적인 어미 형태는 라틴어 명사 제3변화에 남아 있으며, 명사 어근에 붙는 연결모음(vocalis thematica)에 의해서 변화 형태가 정해진다. 비교언어학자들이 재구성해낸 상고 인도유럽어 어미변화표와 *ped-/*pod- '발'이라는 어휘를 예거하여 산스크리트어, 그리스어, 라틴어의 현존 어미를 대조해 본다(O.Szmerenyi [1970]).

          IE desinentia  IE        Sanskrit    Graecum     Latinum
 Sg.
Nom.     -s/-0/[-m]    *pes          pad                      pes
Voc.     -0/[-m]       *pes          pad                      pes
Acc.     -m/-m         *ped-m        pad-am                   ped-em
Gen.     -es/-os/-s    *ped-es/os    pad-as                   ped-is
Dat.     -ei           *ped-ei       pad-e     ---            pad-i
Abl.     -es/-os/-s    *ped-         pad-as    ---            ---
         -ed/-od
Loc.     -i            *ped-i        pad-i                    ped-e
Str.     -e/-o         *ped-e        pad-a                    ped-e
         -bhi/-mi

 Pl.
Nom.     -es/[-os]     *ped-es       pad-as                   ped-es
Voc.     -es/[-os]     *ped-es       pad-as                   ped-es
Acc.     -ns/-ns       *ped-ns       pad-as                   ped-es
Gen.     -om/-om       *ped-om       pad-am                   ped-um
Dat.     -bhyos/-mos   *ped-bhyos    pad-bhyas ---            ped-ibus
Abl.     -bhyos/-mos   *ped-bhyos    pad-bhyas ---            ped-ibus
Loc.     -su           *ped-su       pat-su                   ---
Str.     -bhis/-mis    *ped-bhis     pat-bhis                 ---

[16]  흔하게 쓰이면서 명사의 역할을 자주 겸하는 다음 형용사들은 그 어미변화가 특이하여(형용사 제 1형의 변화이지만 단수 소유격이 -ius, 단수 여격이-i) 주의를 요한다: e.g., unus '한', solus '유일한', totus '온', nullus, ullus '아무도 아닌', alius '다른', alter '둘 중의 다른', uter '양편 다',neuter '둘 중의 누구도 아닌'.

[17]  E.g. longus, longa, longum →  m.f. long-ior  n. long-ius;
       fortis, e → m.f. fort-ior, n. fort-ius

[18] E.g. longus, a, um '긴' → long-issimus, a, um
       fortis, e '힘센' → fort-issimus, a, um

[19] 자주 쓰이는 형용사들에 불규칙한 비교급, 최상급이 있음은 서구언어에서 이미 익숙해진 바이다:
         원급                비교급                  최상급
bonus, a, um 좋은, 선한      melior, ius         optimus, a, um
malus, a, um 나쁜, 악한      peior, ius          pessimus, a, um
multus, a, um 많은           plus                plurimus, a, um
magnus, a, um 큰             maior, ius          maximus, a, um
parvus, a, um 작은           minor, minus        minimus, a, um
inferus, a, um 밑에 있는     inferior,ius        infimus, a, um (imus)
superus, a, um  위에 있는    superior, ius       supremus,a, um (summus)

[20] 라틴어 인칭대명사와 그 어미 변화는 다음과 같다:

        '나'      '너'     '자기'     '우리'      '너희'     '자기'
Nom.     ego       tu                 nos         vos
Gen.     mei       tui       sui      nostri      vestri      sui
Dat.     mihi      tibi      sibi     nobis       vobis       sibi
Acc.     me        te        se       nos         vos         se
Abl.     me        te        se       nobis       vobis       se

[21] 의문대명사, 의문형용사, 관계대명사는 단수 주격에만 어미가 다를 뿐 나머지 모든 격어미는 동일하다. 관계대명사에 준하면 그 어미변화는 다음과 같다.
    sg.  m.        f.        n.       pl.  m.         f.        n.
Nom.     qui       quae      quod          qui       quae      quae
Gen.     cuius     cuius     cuius         quorum    quarum    quorum
Dat.     cui       cui       cui           quibus    quibus    quibus
Acc.     quem      quam      quod          quos      quas      quae
Abl.     quo       qua       quo           quibus    quibus    quibus

[22] 수동태 완료 시제들은 동사의 과거분사에 SUM를 합친 용장활용이다.
E.g., laudatus sum '나는 칭찬받았다'
      monitae sunt '그여자들은 경고를 받았다'
      auditi estis '너희들은 허락을 받았다'

[23] 수동태의 경우, 미완료 시제인 현재와 반과거는 어미만 수동태 어미로 대체하면 된다. 완료시제는 과거분사에 SUM동사의 접속법 현재 SIM을 합성하여 현재완료를, 반과거 접속법 ESSEM을 붙여서 과거완료를 만든다.
E.g.
   현재            반과거         현재완료       과거완료
 laud-e-mur    laud-a-re-mur    laudatus sim  laudatus essem
 mon-e-a-mur   mon-e-re-mur     monitus sim    (deletus essem)
 reg-a-mur     reg-e-re-mur     rectus sim     rectus essem
 aud-i-a-mur   aud-i-re-mur     auditus sim    auditus essem

[24]  E.g., AMARE  현재   ama!    amate!           amare! amamini!
                   미래   amato!  amatote!         amator!
                          amato!  amanto!          amator! amantor!

[25] E.g. [주어] Iuvat legere. 읽는 것이 도움이 된다.
          [객어] Desidero scire.  [알기를 원한다.] 알고 싶다.
          [보어] Hoc non est vivere! 이것은 사람 사는 것이 아니다.
          [동격어] Hoc studeo, tibi placere.
              내가 힘쓰는 바가 뭐냐하면, 당신 마음에 드는 그것이다.
          [속문]  Dicit amicus meus patrem tuum laudare filios suos.
              내 친구는, 네 아버님이 당신 아들들을 칭찬하신다고 하였다.

[26] 능동태 미래부정사
I   laudaturum esse     laudaturam esse     laudaturum esse 칭찬할 것
II  moniturum esse      monituram ese       moniturum esse  권고할 것
III recturum esse       recturam esse       recturum esse   다스릴 것
IV  auditurum esse      audituram esse      auditurum esse   들을 것
수동태   laudatum iri        monitum iri    rectum iri     auditum iri
         칭찬받을 일         권고받을 일    다스림받을 일  응락받을 일

[27] E.g. [시간]: iam 벌써, diu 오래, mox 곧, cras 내일, ante 전에, olim
    그전에,  nunc 지금 tunc 그때, quando? 언제, quamdiu? 얼마동안?
[모양]: ita 이렇게, tam 그렇게, sic 이렇게, uti 그렇게
      saltem 적어도, sat[satis] 제대로
      fere 대개, nimis 너무, vix 겨우, cur? 왜, quam? 얼마나?

[28] 형용사 제 1형은 어간에 어미 -E를 붙여서 부사를 만들고, 제 2형은 그 어간에  -ITER 어미를 부가시켜 만든다.
E.g. lat-us, a, um 넓은 lat-e 넓게,
     pulcher, chra, chrum 고운 pulchr-e 곱게
     gravis, e 무거운, 심각한 grav-iter 무겁게, 심각하게

[29] 부사 중에 성질 형용사에서 유래한 부사들은 형용사에 준하여 비교급과 최상급이 만들어진다. 부사의 비교급은 그것이 파생된 형용사의 비교급 중성단수 주격과 같다. 최상급은 형용사의 최상급을 사용하되 그 어간에 -E를 첨가하여 만든다.
E.g. latior, latius 더 넓은              latius 더 넓게
     carior, carius 보다 소중한          carius 보다 소중하게
     latissimus, a, um 가장 넓은         latissime 가장 넓게
     gravissimus, a, um 아주 무거운      gravissime 아주 무겁게

[30] E.g., ah, heu mihi, ahime, o, ecce.  vae vobis, vae victis! 너희 패배자에게 저주가! heu me miserum 아이고 내 신세야! ecce homo! 저 사람 봐!o fallacem hominum spem! 오 인간의 헛된 꿈이여!

[31]  E.g., a puero '어려서부터', teste Caesare '카이사르의 증언에 의하면
', ab urbe condita '건국이래로', in summo monte '산꼭대기에'.

[32]  E.g., '알파벳' litterae (x alphabeta), '민주정치' civitas popularis (x democratia), '무신론자' qui deum esse negat (x atheista), '방법' via et ratio (x methodus).

[33] 예를 들어 다음 문장의 경우:
    patres nostri amaverunt libertatem adsiduo animo
    "우리 선조들은 꾸준한 정신으로 자유를 애호하였다."
동사 amaverunt는 주어가 식별되지 않아도 "그들은 사랑하였다"로 해석된다.
[분석]  AM-A-VE-RU-NT :
-A- : 모음 어간 -A-로 된 제 1활용 동사
-VE- : 완료시제
-RU- : 현재완료 시제, 직설법
-NT  : 능동태, 3인칭, 복수

[34] 같은 문장의 경우에 명사들과 형용사들이 주어와 갖는 관계를 보자:
1. patres nostri = patrES nostrI [우리 선조들은...] patres: pater, tris m. 명사 '아버지, 조상'의 복수 주격 아니면 대격
nostri: noster, tra, trum 형용사 '우리의' 단수 소유격 아니면 복수 주격 따라서 patrES nostrI는 양자의 공통 문법소 복수 주격, 곧 문장의 주어여야 한다.
2. libertatEM [자유를] : libertas, atis f. 명사'자유'의 단수 대격. 따라서 문장의 직접객어여야 한다.
3. adsiduO animO [꾸준한 정신으로]
adsiduo : adsiduus, a, um '꾸준한' 형용사의 남성이나 중성 여격 혹은 탈격
animo :   animus, i m. '마음, 정신' 명사의 여격 혹은 탈격
따라서 adsiduO animO는 양자의 공통문법소로 남성 여격이거나 탈격이어야 한다. 그런데 동사 amare(사랑하다)는 여격을 지배하지 않으므로 animo는 수단 탈격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35] 형용사의 어미를 보고서 그 수식하는 명사를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이처럼 자유스러운 어휘배치가 가능한다:

[원문] Casta       suo       gladium  cum traderet   Arria    Paeto...
         1          3          4                       1        3
[정리] Cum casta Arria traderet gladium suo Paeto...
              1    1               4     3    3

[36] 문법학자에 따라서는 부사어들을 분류하는 방식이 다르나, 서구어에 익숙해지 않은 우리에게는 위의 분류로도 충분할 것 같다. 위에 든 마르티알리스의 문장을 이 분석에 따라 배열하면 다음과 같다:


                    cum TRADERET

                   1         4        3

                 Arria    gladium    Paeto

                 casta                suo

 

[37] 이 문장을 기능에 의거한 구조분석을 한다면 다음과 같다:

                             SCRIBITUR

                  1

              REPUDIASSE

    1                          4                     CL

    vir                 immortalitatem           ut VIDERET

    ille                                      1               4

    sapientisimus                           [ipse]         Ithacam

 

[38] 이 문장 역시 기능적 구조분석을 하면 다음과 같은 도표가 만들어진다:

                   TRANSGRESSUS EST

  1     5          4          CL                     CL

[ille] die     flumen   quom COGNOVISSET         ut AGGREDERETUR.

       Postero       6             [4]        4

            per exploratores  POSUISSENT   hostis

                                           vagantes  et  incautos ante occasum

               6         1          4            6                     solis

            in loco   hostes    castra       extra moenia

               quo                                        POSITIS

                   PROFECTI ERANT

                1            5                                  [1]

            qui          Brundisio                        custodibus

                                                            null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