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어 첫걸음』
(초판[2001.3.10]의 정오표)
☆ 「라틴어 첫걸음」 초판을 사용하시는 분들에게
◇ 2001년 9월에 수정재판이 나옵니다만 초판을 갖고 공부하시는 분들에게 정오(특히 장음표기) 및 수정표를 수록하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독자들께서 그밖의 오식이나 오류, 특히 본문에도, 맨 뒤의 단어장에도 나오지 않는 단어들을 발견하시거나, 라틴어 문장 및 번역문의 잘못이나 모호한 점을 지적해 주시면 정오표 작성과 다음 수정판 준비에 큰 도움이 되겠습니다.
◇ 「古典 라틴어」수정판이 마려중이며, Gross 교수님의 수고로 모든 단어와 문장에 장모음 표기가 되어 있으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이 책의 연습문제 해답집에서도 오류나 모호한 점이 있으면 지적해 주시기 바랍니다. 혹시 초판(1995년판)을 갖고 계신 분은 그 판에 너무도 많은 오식과 오류가 있음을 유의하시어 가급적 수정판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초판[2001.3.10]의 정오표)
19쪽 아래서 넷째줄 venīīmus → venīmus
22쪽 첫머리 동사표와
“라틴어 동사에는... 네 활용의 본보기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문장은
위치가 바뀌어야 합니다.
24쪽 12행 2. Vocamus te sed non auscultas vos → nōs
번역도 “우리는 너를 부르지만 너는 우리(말을) 듣지 않는다.”
15행 5. Dum desideras servare nos, amamus nos → te
번역도 “당신이 우리를 지켜주고 싶어하는 한
우리는 당신을 사랑한다.“
31쪽 12행 terra f. 땅 → cēna f. 저녁(식사)
* terra는 이미 나온 단어이고 문4의 5번 문장에 cenam이 나오는데
아직 소개 안된 단어가 되고 맙니다.
35쪽 첫행끝 cum → 삭제
* 전치사 cum은 42면에 처음 나옵니다.
37쪽 10행 [alienum 남의] auxilium, -ī → -iī
끝줄 Populi pugnare saepe desiderant.
→ Populi saepe pugnare desiderant.
(→ Populus desiderat saepe pugnare.)
→ (→ Populus saepe desiderat pugnare.)
* Gross 교수님의 제안에 따른 단어순서 변경
38쪽 15문 Bellum regnum terret et damnum magnum portat.
→ Bellum terret populum et damnum magnum dat rēgnō.
번역도 “전쟁은 백성을 무서워떨게 만들고 왕국에 큰 해를 준다.”
* Gross 교수님의 제안에 따른 원만한 문장
* 동사 porto의 본의미는 “물건을 가져가다, 가져오다”
42쪽 13행 4. Agricolae filia erat cum multa pecuniā
→ Agricolae filiae erat multa pecunia.
번역도 “농부의 딸에게는 많은 돈[주격]이 있었다.”
* Gross 교수님의 제안에 따른 원만한 문장
43쪽 6행 Estis magistri, et sumus discipuli
컴마가 있으므로 et 삭제
44쪽 4행 auxilium, -ī → -iī
6행 numquam 절대로... → 절대로... 아니
47쪽 19행 delecto, -are 즐기다 → 즐겁게 하다
48쪽 4행 de bello antiquorum → antīquō
* 형용사의 명사적 용법(“옛사람들의”)을 아직 배우지 않았으므로
“옛날의 전쟁에 관하여”라는 문구로 바꿉니다.
48쪽 15행 5. Galli templa Romanorum saepe delebant.
→ Inimīcī saepe delebant templa patriae.
번역도 “원수들이 조국의 신전들을 자주 파과하였다.”
* 형용사의 명사적 용법(Galli, Romanorum)을 배우지 않았으므로
문장을 전부 바꿉니다.
49쪽 3. 미래 둘째줄 ego er → erō
50쪽 제목란 둘째줄 SECUNDUM IUM → 삭제
→ SECUNDUM AEQUUM ET BONUM
52쪽 끝에서 셋째줄 끝 solum → rēgnum
* solum(-i n. 토양, 땅, 대지)은 이곳도 단어장에도 안 나오는 단어
53쪽 끝에서 넷째줄 끝무렵 līber → liber (장모음 없이)
끝에서 둘째줄 맨끝 exercitium → ōtium
* exercitium(-ii n. 연습, 훈련)은 이곳도 단어장에도 안 나오는 단어
56쪽 [문 5. 문구파악]을 신설합니다.
aspera fortunae - meam pulchram - humanum est timere - amat suos suaque - servis tuis meisque - sacra templorum vestrorum - populorum copiam altarum - poetae cibos nostro - noli desiderare aliena - sine periculo populi meii - aegros terret morbus - vita delectat bonos malosque - viri servant suas - agros domini frugiferos
[번역]
운명의 쓰라린 것들[을] - 나의 아리따운 [여인을] - 두려움을 품는 것은 인간적인 것이다 - [누구나] 자기 사람들과 자기 재산을 아낀다 - 너의 종들과 나의 종들에게 - 너희 신전들의 성스러운 것들[을] - 커다란 포플러나무들의 풍성함을 - 우리 시인에게 음식[들]을 - 남의 것들을 탐내지 말라 - 나의 국민의 위험이 없는 - 질병이 병자들을 겁나게 만든다 - 삶은 선한 사람들이나 악한 사람들이나 기쁘게 해준다 - 사내들이 자기 여자들을 지켜준다 - 주인의 풍족한 전답들을
56쪽 1행 [문 5] → [문 6]
5행 4. Sacro animo aspera portabatis de fortuna.
→ Sacro animo portabatis fortunam sinistram.
번역; “그대들은 경건한 마음으로 불운을 견뎌냈다.”
* sinister: (로마인들에게) "상서로운“, (그리스인들에게) ”불길한“
* Gross 교수님의 제안에 따른 문장 수정
7행 [문 6] → [문 7]
59쪽 9행 genus, eris → generis
*[문 1] 단어집은 속격을 모두 전체로 표기하였음
10행 끝에 첨가: līberī, līberōrum m.pl. 자녀들
*바로 다음 [문 2]에 līberōs 나오므로 여기서 단어를 익힐 필요
16행 sine doloris causa → sine labōris causa
“수고할 이유가 없이”
* dolor, doloris m. '고통‘ : 아직 안 나온 단어
17행 끝 mortes in cruce → servōs in cruce
"십자가에 매달린 노예들을“
*mors, mortis f. '죽음‘ : 아직 안 나왔고 다음 단원에 나옴
끝에서 두 번째 줄 4. Orator... imperatorem → ducem
*imperator, oris m. '사령관‘ : 아직 안 나온 단어
63쪽 4행 3. Agricolae... capiunt → tenent
* capio, ere '붙잡다‘ 아직 안나옴. teneo, ere '붙잡아 두다’
64쪽 3행 2. Gaudia principium sunt saepe nostri doloris.
번역: “즐거움이 종종 우리 고통의 출발이 된다.”
→ Gaudia principum sunt saepe nostri dolores.
번역: “군주들의 즐거움은 종종 우리들의 고통이다.”
68쪽 7행 audio, audīēbam → audiēbam (장음표기 바로잡기)
71쪽 끝줄 “대명사로 꼽는 것은 다음 여섯 가지이다.”
→ “대명사로 꼽는 다음 네 가지를 공부한다.”
75쪽 12행(표속에) eum / eum → eam / id
76쪽 3행 Istam dēbēo → dēbeō (장음표기)
6행 Illi → Illī (장음표기)
10행 illius auctoritas(-atis f. 권위) [단어 소개 첨가할 것]
14행 harum filiārum → fīliārum [장음표기]
15행 끝 huncine → huncne [hunc - ne(...이냐?)]
24행 2,. Puellas... etiam(..도, 또한[접속사]) tu? [첨가]
79쪽 12행 끝 vēnit → venit
13행 누가 오긴 오겠다 → 온다.
80쪽 2행 누구에게나(cui-que: cui '누구에게‘[130면 참조])
81쪽 5행 누가 그의 소를 보았느냐? → 보느냐?
Quis vīdit → videt
6행 누가 그들의 소를 보았느냐? → 보느냐?
Quis vīdit → videt
* 아직 완료시제(vīdit: 현재완료)를 배우지 않았음
9행 끝 utilis(유익한) → cāra (소중한)
* utilis는 제2형 형용사(110면 참조)이며 아직 배우지 않음
82쪽 17행 Unus Deus est omnipotens → bonus
신 홀로 전능하다 → 선하다
* omnipotens 역시 제2형 형용사(112면 참조)로서 아직 배우지 않음
19행 Tu sola amabilis → pulchra
그대 홀로 사랑스럽다 → 아름답다
* amabilis 역시 제 2형 형용사(110면)
83쪽 12행 cum uno tribuno(tribunus, -i m. 호민관, 장교) [첨가]
17행 1. Sola... excitabit.(excito, are 깨우쳐주다) [첨가]
84쪽 3행 Nemo, nūllīūs → nūllīus [장음표기]
15행 Gnaeum... vidī → videō
16행 나는 두 사람 다 못 보았다. → 두 사람 다 안 보인다.
* vidi: 완료형은 아직 안 배웠음
91쪽 5행 6. Marcus cum Cloelia Romae ("로마에“: 장소 속격) [첨가]
12행 2. animus... optinuit → obtinuit
97쪽 5행 iam fīnīerint → fīnierint [장음표기]
99쪽 17행 5. contra Carthaginienses(-ium 카르타고사람들) [첨가]
103쪽 6행 끝 Vergi- → Vergilius
105쪽 12행 Qua re → Cur
* Qua re ← res(126면 참조)는 아직 배우지 않은 단어
20행 끝 quos regitis(regō, ere 다스리다) ? [첨가]
107쪽 5행 끝 iter fecisse? → in monte?
6행 번역: “그들이 산에 있는 것을 당신들은 언제 보았소?
* 부정법문(eos iter fecisse: 172면)을 아직 배우지 않았음
136쪽 15행 표 4 acc./ unum/ unum → ūnam / unum
137쪽 6행 (두번째 반복되는) mille qeuites 기병 천명 [삭제]
138쪽 밑에서 5행 [탈락된 순서수들을 첨가합니다]
기본수 primus, secundus, tertius, quartus, quintus
sextus, septimus, octavus, nonus, decimus
undecimus, duodecimus, tridecimus...
십 수 vigesimus, trigesimus, quadragesimus...
백 수 centesimus, ducentsimus, trecentesimus...millesimus
141쪽 10행 semel in anno 일년에 한번씩 [앞으로 당기고 고딕으로]
152쪽 11행 표 3 laud-ā-ntur → laud-a-ntur [장음표기]
153쪽 11행 끝 nescio... 알지 못하다, 모르다 [첨가]
155쪽 7행 5. Ab eo quem dīlīgēs → dīligēs[장음표기]
16행 Audīor → Audior
157쪽 밑에서 4,3,2 행 laudāti → laudātī [장음표기]
160쪽 밑에서 6행 vīnciō → vinciō [장음표기]
마지막행 sepulti → sepultī [장음표기]
162쪽 17행 3. Labōres → Labōrēs [장음표기]
166쪽 7행 (59쪽 참조) → (60쪽 참조)
167쪽 18행 Sole orto → Sole occāsō
19행 해가 뜨고 나서 → 해가 지고 나서
* orior, ortus sum, oriri '솟다‘ : 탈형동사(179면) 아직 안 배움
* occido, occidī, occāsum, ere '죽다, 지다‘
168쪽 12행 Ceperunt profecturos → fūgitūrōs
그들은 ‘마악 출발하려던 → 도망가려던
* 탈형동사 (proficiscor, fectus sum, cisci: 179면) 아직 안 배움
171쪽 아래서 다섯째 줄 (amavisse → amāvisse / amo → amō)
174쪽 15행 “하여) 탈격(...하기에 좋은)만 갖춘 용법이다.” [다음에 첨가]
목적분사는 과거분사에서 형태를 차용하며 -tum 은 능동태,
-tu 는 수동태로 쓰인다.
179쪽 맨끝줄 potītūs → potītus [장음표기]
183쪽 이하의 “단어장”에 다음과 같은 단어들이 추가됩니다.
decido, cidi, ere 몰락하다
illustris, e 빛나는
minutum, in. 작은 것, 분
occidio, occidi, casum, ere 죽다
sano, avi, atum, are 낫게 하다
199쪽 이하의 “찾아보기”의 장음표기도 다음과 같이 수정됩니다.
200쪽 3행 제4변화(fructūs → frūctūs
[좌] 23행 부정사(īnfīnītīvum → īnfīnītīvus
26행 부정법문(prōpositio → prōpositiō
27행 부정형용사(adi.infīnitivum → īnfīnītīvum
201쪽 18행 의문형용사(adi.interrogativum → interrogātīvum
35행 제4변화 명사(fructūs → frūctū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