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인터뷰 2009.6.24]

 

“서양고전 번역은 문화적 대화 우리 학문 살찌우는 밑걸음”

 김진우기자 jwkim@kyunghyang.com

ㆍ단테 ‘제정론’ 번역·주해 성염 前 서강대교수

알레기에리 단테(1265~1321)는 <신곡>을 쓴 대작가로 널리 알려져 있다. 하지만 그는 현실 정치가이자 사상가이기도 했다. 교황권과 황제권이 대립하던 당시 고국 피렌체의 정치에 깊이 관여했고 이탈리아 문제를 좌지우지하는 외교 교섭에 여러 차례 참여했다. 황제권을 옹호하다 피렌체에서 영구 추방되기도 했다.

20090624.01100122000007.01M.jpg

최근 아우구스티누스의 라틴어 원전 번역에 몰두하고 있는 성염 전 서강대 교수는 “서양고전 번역은 정부의 지원이나 독자들의 관심 여부를 떠나 학자 자신의 책임의식이 필요한 작업”이라고 강조했다. |김영민기자

이 같은 단테의 정치철학을 집약해놓은 책이 <제정론>이다. 이 책은 중세 정치철학의 가장 첨예한 논제인 교황과 황제의 정치적 권한을 ‘두 궁극 목적 이론’으로 해결함으로써 정교분리론을 사변적으로 확립한 중요한 정치철학서로 평가받고 있다.

“단테는 황제의 속권(俗權)이 교황의 교권(敎權)에 통제받는다는 논리에 정면으로 맞섰습니다. 현세적 행복과 사후의 초자연적 행복을 인간의 두 궁극 목적으로 설정하고 각각을 주관하는 정치적 권위와 종교적 권위를 동등하게 설정함으로써 사실상 정치와 종교를 분리시켰어요.”

<제정론>(경세원)을 번역·주해한 성염 전 서강대 교수(67)는 지난 21일 “출간되자마자 금서로 지정된 <제정론>은 유럽 사회가 ‘세속화’하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준 책”이라면서 “인간을 단순히 신앙인으로만 보는 ‘단극성’에 대해 신앙인이자 시민으로 보는 ‘양극성’을 주창한 저서”라고 밝혔다. 토마스 아퀴나스(1225~1274)가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에 입각해 인간의 자연적 차원을 정립했음에도 속권을 교권에 귀속시킨 반면 단테는 “인류의 현세적 궁극 목적을 주관하는 황제와 인류의 영원한 운명을 주관하는 교황을 설정함으로써 하나가 다른 하나에게 종속된다는 이론을 타파했다”는 것이다.

2003~2007년 주교황청 한국대사를 역임하기도 했던 성 전 교수는 국내에 드문 라틴문학 및 중세철학 전문가다. 40세때 “우리나라에 정말 필요한 게 고전”이라는 생각에 이탈리아 유학길에 올라 교황립 살레시안대에서 라틴문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라틴어 첫걸음>(경세원)과 <고전 라틴어>(바오로딸) 등 라틴어 학습서를 내놓았고 라틴어 원전을 비롯한 번역서만 100여권에 이른다.

경남 함양 지리산 자락에 머물고 있는 성 전 교수가 최근 몰두하고 있는 일은 교부철학 최고의 사상가인 아우구스티누스(354~430)의 라틴어 원전 번역 작업이다. 2004년 4년여의 작업 끝에 아우구스티누스의 대표작 <신국론> 원전을 국내 최초로 완역한 그는 얼마 전 또 다른 대작 <삼위일체론>의 번역을 끝냈다. 지금은 초기 <대화록>을 번역 중이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저서는 현대에도 강렬한 메시지를 전해줍니다. <신국론>은 인간 실존의 핵심인 사랑이 사사로운 사랑과 사회적인 사랑으로 드러나 인류사의 두 축을 구성한다고 보는 역사철학서로, 결국 개인 구원이나 안식보다는 역사나 세계에 대한 책임을 강조합니다.” 그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저서 60종 가운데 중요한 10종 정도는 노망기가 오기 전까지 번역해보자는 생각에 아예 산 속으로 들어갔다”고 웃었다.

한국서양고전학회 회장을 맡기도 했던 성 전 교수는 “대학에서 철학과도 없애는 판에 서양고전학과를 누가 만들려고 하겠냐”면서 “가톨릭 신자가 40만명밖에 안되는 일본도 아우구스티누스와 토마스 아퀴나스의 저서를 체계적으로 번역하는 등 문화적인 투자를 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번역은 문화적인 대화입니다. 서구 문화의 주류를 이루는 저서들을 우리말로 번역해낼 때 동서양 교류뿐만 아니라 우리의 학문적 이론과 문화를 수립하는 밑거름이 된다는 생각으로 번역하고 있어요. 이런 책들을 한 번 번역하면 수십 년을 가는 만큼 지원이 있든 없든 학자들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김진우기자 jwkim@kyunghya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