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성염의 읽기쉬운 사회교리
  2. 성염교수의 신앙칼럼
  3. 살아온 이야기
  4. 언론 인터뷰와 칼럼
  5. 신문방송에 비친 성염교수
  6. 가장 최근 칼럼
  7. 지리산人

crop-08.jpg


[고백록읽기 제7]

(경향잡지 2017년 8월)

 

사랑이 진리를 깨닫게 한다

 

찬미하는 사람의 고백이거나 뉘우치는 사람의 고백이거나


아우구스티누스는 고백록(告白錄)을 왜 썼을까그리스 문학가든 로마 정치인이든 자서전을 쓸 때는 설화에 가까운 영웅담들지인들과 주고받은 서간들을 싣고서 자기선전이라는 수사학적 허세를 부리기 마련이었다바울로 사도 이후 그리스도교의 가장 위대한 이 교부는 생애 전반부를 담담하게 들려주면서 하느님과 독자들 앞에 자비와 동정을 비는 참회를 써내려간다.


395년에 히포의 주교직에 서품된 아우구스티누스가 북아프리카 교회를 결딴내다 시피 한 도나투스파 이단에 정면으로 맞서자 저자가 도대체 누구야?’라는 인신공격이 쏟아져 나왔고 새 주교는 자기 과거를 밝혀 독자들이 "내 선업을 두고는 안도의 한숨을내 악업을 두고는 탄식의 한숨을 쉬라고 하겠습니다나의 선업은 당신의 업적이자 당신의 선물이며나의 악업은 내 죄악이자 당신의 심판입니다.(10.4.5)라는 심경을 밝힌다그토록 많은 내 죄에서 내가 누구 덕분에 빠져나왔는지 보았을 테니까 자기들도 바로 그분 덕분에 그 많은 죄의 질병에 시달리지 않았음을 보게 될 것입니다(2.7.15)라는 기대에서였다.


성경의 시편단테의 신곡과 더불어 아우구스티누스의 고백록으로 한국 가톨릭문학에서 가장 아름다운 번역문을 남긴 시인 최민순 신부님이 우리가 읽어온 이 책에 님 기림이라는 부제를 단 것은 참으로 멋진 재치였다실상 책 전체에 자기를 지성적 오류와 도덕적 죄악에서 해방시켜 주신 하느님의 자비에 드리는 찬미의 고백과 지은 죄의 고백’ 그리고 후반부의 창조론에 드러나는 신앙의 고백’ 셋이 촘촘히 엇갈려 있다.


헬레니즘 문화의 과장된 자아성취록과는 판이하게도 세계문학사에서 이 책은 자기 죄악의 체험에서 오는 심리적 갈등을 거쳐 한 지성이 하느님께 돌아가는 종교적 서사시이고그리스도교에서는 참회자가 회중 앞에서 땅에 엎드려 시편 50편 미세레레에 버금가는 공개 보속이며신비신학에서는 하느님의 침묵 앞에서 써내려가는 짝사랑의 연서”(O’Donnell)이다.

 

어디까지 가야 할지 아는 사람들과 어느 길로 가야 할지는 모르는 사람들


고백록의 13권중 딱 중간에 자리 잡은 제7권을 읽는 독자에게는 하느님이 아우구스티누스에게 드디어 손을 쓰시기로 작정하신 기미가 엿보인다본인도 당신의 오른손이 진즉부터 제게 닿아 있었고 진창에서 저를 끄집어내어 씻어 주실 작정임”(6.16.26)을 예감한 참이다.


384년 가을북아프리카 출신 아우구스티누스는 로마황실 수사학교수로 출세해서 밀라노에 와 있었다모친과 아이엄마와 식솔들도 바다 건너 쫓아왔다그동안 못되고 삿된 저의 청춘은 죽어버렸고 어느 새 장년기로 접어들었습니다나이가 들수록 허영으로 추해졌습니다(7.1.1)고 자백하지만 진리를 찾아가던 구도의 길에 드디어 세 단계 회심이 일어난다.


첫 번은 마니교 선악이원론을 빙자하여 자기가 무슨 못된 짓을 저질러도 우주를 지배하는 악의 원리에서 비롯하지 자기 탓이 아니라는 자기기만이 깨어지는 도덕적 회심’(6), 세상에는 물체밖에 존재하지 않는다며 회의론에 휘말리다 신플라톤철학의 서적들에 접하면서 하느님 같은 영적인 존재도 있음을 수긍하고 그리스도라는 중개자의 필요를 인정하는 철학적 회심’(7), 그리고 예수 그리스도의 아버지 하느님이라는 진리에 평생을 헌신하겠노라 선언하는 종교적 회심’(8)이다.


서양 사상사에서 헬레니즘과 헤브라이즘이 합류하는 양수리(兩水里)’칼 야스퍼스에게서 고대의 플라톤과 근대의 칸트와 더불어 근원적으로 사유한 철학자로 꼽힌 아우구스티누스의 철학적 회심이 제7권에서 진리를 향한 상승의 길’(7.9.13-21.27)이라는 제목으로 치밀하게 묘사된다그리고 사변적 득도와 실존적 구원은 구도자의 정신자세 곧 겸손과 오만으로 좌우된다는 깨달음도 얻는다오만한 지성그것은 스스로 만든 우상의 신전하느님께 가증스러운 신전(7,14,20)일 따름. 당신은 교만한 자를 물리치시고 겸손한 이들에게는 은총을 베푸신다는 점과당신의 말씀께서 사람이 되셔서 사람들 가운데 사실 만큼 겸손의 길을 통해서 당신의 자비가 얼마나 큰지 사람들에게 드러났다는 사실(7.9.13)이 가슴에 와 닿았다.


밀라노 지성인들을 사로잡던플로티누스의 엔네아데스를 읽고 난 감회를 아우구스티누스는 이렇게 회고한다당신께서는 저도 모르는 사이에 머리를 안아주시고 저의 눈을 감겨주셔서 더 이상 헛것을 보지 않게 하신 다음에는 저도 깜빡 제게서 놓여났고 그러다 깨어나 당신 품에서 눈을 떴습니다.”(7.14.20) 또 놀랍게도 어느덧 저는 당신을 사랑하고 있었습니다하지만 저의 하느님을 향유하고 있지는 못했습니다당신의 아름다우심으로 인해서 당신께 사로잡혀가고 있으면서도 머지않아 저의 중력에 눌려 당신께로부터 떨어져나가곤 하였는데 저 중력이란 곧 육욕의 습관이었습니다.”(7.17.23)


이어서 교부는 철학과 종교의 차이사변적 추정과 신앙적 고백의 거리에 눈뜬다어디까지 가야 할지 아는 사람들과 그것을 알아도 어느 길로 가야 할지 모르는 사람들 사이가 얼마나 거리가 먼지행복을 주는 고향으로 데려가는 길을 감지하는데서 그치지 않고 그곳에서 살기에 이르는 것 사이에 얼마나 거리가 먼지를 분간하게 만드셨습니다.”(7.20.26) 그리스 철학자들의 책에는 경건심의 얼굴도고백의 눈물도당신께 드리는 희생제사도괴로워하는 영도부서지고 꺾인 마음도 없었습니다.”(7.21.27) 역사상 최초의 실존주의자에게 참된 철학이란 여생을 오롯이 바칠만한 참된 종교여야 했다.

 

당신 빛으로 빛을 보옵니다


그럼 철학자들과 종교인들의 안광은 어떤 점에서 다른가사람이 어떻게 진리를 알까너 자신을 알라!’는 소크라테스의 훈계대로 인간 내면에 들어가 의식과 기억을 분석하면서 진리를 찾아가는 사다리를 그가 찾아낸 것도 밀라노에서였다진리를 찾아서 밖으로 나가지 말라그대에게로 돌아가라인간의 내면에 진리께서 거하신다그리고 그대의 본성이 가변적임을 발견하거든 그대 자신도 초월하라하지만 기억하라그대가 자신을 초월할 때 그대가 초월하는 바는 추론하는 영혼임을그러니 이성을 비춰주는 원초적 광명이 빛나고 있는 그곳을 향하여 나아가라.”(참된 종교」 39.72, 성염 역주분도출판사 1988)


들에 핀 무수한 화초를 보면서 사람은 이 무엇인지 뽑아내서 알아간다아리스토텔레스의 추상설(抽象說)’이다그런가 하면 손에 들고 코로 냄새 맡는 꽃이든 사진이나 기억으로 떠올리는 꽃이든 색색의 식물을 이라고 알아보는 까닭은 우리 영혼이 육체로 귀양 오기 전에 전생에서 이라는 이념을 보았기 때문이라는 플라톤의 상기설(想起說)’도 있다아우구스티누스는 한 걸음 나아가 꽃은 아름답다라는 진선미의 판단이 어디서 올까 궁금했다.


천상 물체든 지상 물체든 물체의 아름다움을 감상하면서대체 무엇이 제 앞에 현전하기에제가 가변적인 사물들을 두고서 이것은 이래야 되고저것은 저래야 된다고 판단하는지그 근거가 무엇인지를 따지게 되었습니다....그러다 저는 가변적인 저의 지성 위에 진리의 영원불변하고 참된 영원을 발견했습니다.”(7.17.23) “당신 빛 속에서 저희가 빛을 봅니다는 시편(35,10)대로인간이 사물에서 선하고 아름답고 참되고 확실함을 알아보는 빛은 위에서 쏟아져 내리며그 빛 자체가 인간을 창조하신 하느님이시라는 깨달음이 아우구스티누스의 인식론인 조명설(照明說)’이다.


저는 제 자신에게 돌아가라는 권유를 받았고 당신의 이끄심으로 저의 내면 깊숙이 들어갔는데 제 영혼의 어떤 눈으로 보았습니다제 영혼의 눈 바로 그 위에저의 지성 위에 불변하는 빛을... 그 빛이 저를 만들었으므로 제 위였고 그 빛에 의해서 만들어졌으므로 제가 그 아래였습니다. 진리를 아는 이는 그를 알고 그를 아는 이는 영원을 압니다사랑이 그를 압니다. 영원한 진리여참된 사랑이여사랑스러운 영원이여당신께서 저의 하느님이시니 밤낮으로 당신을 향해 한숨짓습니다.”(7.10.16) 그리스인들은 알면 사랑한다고 했다아우구스티누스는 그 말을 뒤집어 사랑하면 안다고 한다사랑하면 진리를 알고 하느님을 알고 사람을특히 한숨에 젖고 눈물 흘리고 굶주리는 사람들을 알아본다! 19세기에 이르면 칼 마르크스의 입에서 그런 사람들과 함께 하면’ 진실을 안다는, ‘사회적 사랑으로 바뀔 한 마디였다


    문서 첨부 제한 : 0Byte/ 8.00MB
    파일 제한 크기 : 2.00MB (허용 확장자 : *.*)
    주제
    베르길리우스와 아우구스티누스의 비극 이해 (2017.11.25) file
    by 관리자 on 2021-05-01 19:23
    0 1301
    by 관리자
    on 2021-05-02 10:07
    도올선생과 함께 하는, 성염 교수의 아우구스티누스 강의 (2016.6.20)
    by 관리자 on 2021-04-30 10:50
    0 1170
    by 관리자
    on 2023-06-27 11:22
    “진리여, 늦게야 당신을 사랑했습니다!”: 아우구스티누스의 「고백록」(2015.11)
    by 관리자 on 2021-04-30 11:10
    0 1504
    by 관리자
    on 2021-04-30 11:10
    서양 고전과 그 역사적 의미: 아우구스티누스 『고백록』과 『신국론』 (2020.10.17)
    by 관리자 on 2021-04-30 10:46
    0 1288
    by 관리자
    on 2021-04-30 10:46
    [아우구스티노를 만나다 ① 서론] “사랑만이 진리를 깨닫는다” [경향잡지 2012.1] image
    by 관리자 on 2020-12-17 19:35
    0 1062
    by 관리자
    on 2021-04-19 06:08
    [아우구스티누스를 만나다 ② 대화편 ] ‘그리스도교 철학’의 탄생 [경향잡지 2012.2]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23
    0 957
    by 관리자
    on 2021-04-19 06:09
    아우구스티노를 만나다 ③ 자유의지론] "달려가거라, 내가 안아 오리라!" [경향잡지 2012.3]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26
    0 984
    by 관리자
    on 2021-04-19 06:11
    [아우구스티노를 만나다 ④ 고백록] “당신 창조계의 한 몫이 당신을 찬미코자” [경향잡지 2012.4]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28
    0 1002
    by 관리자
    on 2021-04-19 06:12
    [아우구스티노를 만나다 ⑤ 삼위일체론] “그대가 사랑을 본다면 그대는 바로 삼위일체를 뵙는다”[경향잡지 2012.5]
    by 관리자 on 2021-04-19 05:30
    0 979
    by 관리자
    on 2021-04-19 06:13
    [아우구스티노를 만나다 ⑥ 신국론] 하느님 나라의 초석: 사회적 사랑 [경향잡지 2012.6]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32
    0 1112
    by 관리자
    on 2021-04-19 06:14
    ['고백록' 읽기-1] 잔에 담긴 물을 보고도 바다를 상상하던… (경향잡지 2017.1)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38
    0 1033
    by 관리자
    on 2021-04-19 05:52
    [고백록 읽기] 당신 창조계의 작은 조각 하나가 (경향잡지 2017.2)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45
    0 1104
    by 관리자
    on 2021-04-19 05:45
    [고백록 읽기] “내 나이 열여섯” (경향잡지 2017.3)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47
    0 1131
    by 관리자
    on 2021-04-19 05:47
    [고백록 읽기] “아! 진리여, 진리여, 그대 내 하느님이시니” (경향잡지 2017.4)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48
    0 1055
    by 관리자
    on 2021-04-19 05:48
    [고백록 읽기] “내가 내 자신에게 커다란 수수께끼” (경향잡지 2017.5)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50
    0 1139
    by 관리자
    on 2021-04-19 05:50
    [고백록 읽기] "달려가거라! 내가 안고 오리라" (경향잡지 2017.6)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52
    0 1052
    by 관리자
    on 2021-04-19 05:52
    [고백록 읽기] 아우구스티노의 ‘정치적 사랑’ - ‘세상에 대한 사랑’과 ‘사회적 사랑’ (경향잡지 2017.7)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54
    0 1159
    by 관리자
    on 2021-04-19 05:54
    [고백록 읽기] “사랑이 진리를 깨닫게 한다” (경향잡지 2017.8)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56
    0 3374
    by 관리자
    on 2021-04-19 05:56
    [고백록 읽기] ‘하느님의 승부욕’ (경향잡지 2017.9)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58
    0 1061
    by 관리자
    on 2021-04-19 05:58
    [고백록 읽기] 아우구스티누스의 사모곡 (경향잡지 2017.10)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59
    0 1063
    by 관리자
    on 2021-04-19 05: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