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성염의 읽기쉬운 사회교리
  2. 성염교수의 신앙칼럼
  3. 살아온 이야기
  4. 언론 인터뷰와 칼럼
  5. 신문방송에 비친 성염교수
  6. 가장 최근 칼럼
  7. 지리산人

crop-11.jpg


[고백록읽기 9]

(경향잡지 2017년 11월) 

 

인간하느님을 담을 수 있는 존재

 

밀라노 회심으로 고백록은 정점을 지났고 아우구스티누스의 여울졌던 감정은 고요한 흐름으로 바뀐다그 뒤 10여년이 흐르고 히포의 신자들은 자기네 주교한테 호기심 어린 질문을 던져왔다. “당신의 과거는 그랬다 치고 지금의 당신은 어떤 심경이오?” 그래서 본서 제10권은 세태를 관찰하며자기 정신을 분석하며자기 양심을 성찰하며 하느님을 탐구해온 한 인간의 여정을 돌이켜 진리여당신께서 어디인들 나와 함께 걷지 않으셨습니까?”(10,40,64)라고 차분히 말씀드리는 글이다제가 누구였던가를 두고서가 아니라 제가 아직도 누군지를 두고 제 고백을 하고 있는 이 시점에서 제가 누구인지이것을 알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당신께서 사랑하라고 가르치시는 바를 제 안에서 발견하고 사랑했으면 좋겠습니다당신께서 마음 아파하라고 가르치시는 바를 제 안에서 발견하고 아파했으면 좋겠습니다.”(10,4,5)


나이든 독자가 고백록」 10권 후반부(10,28,39-39.,4)를 읽노라면 젊어서 읽었을 준주성범)을 떠올릴지도 모른다수도자로서성직자로서 사도 요한이 경고한 삼중의 욕망 곧 육의 욕망과 눈의 욕망과 세속의 야심을 어떻게 이겨내는 중인지 참 솔직하고 세세하게 풀어낸다. 그래도 가장 힘든 것은 학자로서의 호기심과 성직자로서의 명예욕이더라는 자백(10,35,47)은 온전한 정화에 이르는 오직 한 가닥 희망하나의 든든한 언약은 당신의 자비뿐입니다.”(10,32,48)라는 탄식으로 끝을 맺는다.

 

무척이나 하느님을 탐하는’ 인간


루터와 칼빈의 종교개혁동시대 코르넬리우스 얀센이 가톨릭에 퍼뜨린 염세주의는 원죄론예정설, ‘믿음으로만’ 또는 은총으로만’ 같은 표어를 아우구스티누스의 저술에서 끄집어냈기 때문에 이 교부가 인간 신체와 성생활인간 존엄성과 자유의지인생의 현세적 차원과 역사적 사명에 관해 비관론을 퍼뜨렸다는 비판도 받는다하지만 고백록」 10권의 전반부를 새겨 읽는 독자라면 그의 사상이 참으로 현실감 있는 인간론일뿐더러 아마도 철학사상 가장 위대한 인간예찬론이라는 견해에도 공감하리라 본다.


아우구스티누스의 필생의 작업은 하느님을 알고 인간을 알아가는 탐구였다인간이 참으로 위대한 수수께끼이자 바닥 없는 심연’(4,4,9; 4,14,22)임을 절감하였기 때문이다. “인간자기 죽을 운명을 메고 다니며자기 죄의 증거와 당신께서 오만한 자들을 물리치신다는 그 증거를 짊어지고 다니면서도” 하느님 더구나 삼위일체를 닮았고’, ‘하느님을 파악하고 사랑하며’, ‘하느님으로 채워지기까지는 만족을 모르고 마냥 행복을 추구하는’ 신비로운 존재로 보였다.


존재하는 무엇이든지 당신 없이는 존재 못하는 까닭에존재하는 무엇이든지 당신을 담기로 되어 있다는 말입니까?”(1,2,2)라는 물음이 거기서 나오고, ‘하느님을 담을 수 있는 존재(homo capax dei)’라는 인간 정의를 아우구스티누스가 철학사에 남겼다세계를 피조물로 정립하면서 고백록」 첫 구절부터, “인간당신 창조계의 작은 조각 하나가 당신을 찬미하고 싶어 합니다당신을 향해서 저희를 만들어놓으셨으므로 당신 안에 쉬기까지는 저희 마음이 안달을 합니다.”(1,1,1)라면서인간이란 하느님에게서 오고(작용인), 하느님을 향하는(목적인존재임을 알아보았다그럼 왜 우리 마음은 애초부터 안달하며 존재를 시작하였을까?” 먼지만도 못한 인간이 당초부터 무한한 선영원한 삶절대 행복을 탐할 만큼 야심찬 까닭이 뭘까? “당신께서는 온갖 탈법한 저의 쾌락에다 쓰디쓴 거리낌을 뿌리시면서 저로 하여금 거리낌이 들지 않는 쾌락을 찾아 나서게 만드셨습니다.”(2,2,4)는 원망대로하느님이 인간의 하찮은 행복에마저 초를 치시고 죄타락유한성을 자꾸 들여다보게 만드시는 연유가 무엇일까?


모친과 함께 겪은 오스티아의 신비체험(9,10,23-26)은 인간은 무척이나 하느님을 탐한다”(서간 137,3,12)는 확신을 심어 주었다아우구스티누스는 먼저 주위를 둘러보고 삼라만상에서 창조주의 흔적을 찾아보았다세계라는 덩어리에게 내 하느님께 관해서 묻자 내게 대답했습니다. ‘나는 아니다오히려 그분이 나를 만드셨다.’ 바다와 심연생혼이 있는 길짐승들에게 물었으나 우리는 너의 하느님이 아니다우리 위에서 찾아라.’ 하늘태양달과 별들에게 물었습니다그랬더니 우리도 네가 찾는 하느님이 아니다.’ 라고 했습니다.”(10,6,9) 이런 대답을 들으며 나는 바로 내 영혼을 통해 그분께로 올라가겠다내 영혼의 머리 위에 계시는 분을!”(10,7,11)이라고 다짐하며 이성적 영혼 위에 있는 불변의 본성이 곧 하느님(참된 종교 31,57)이라는 신념이 생겼다.

 

기억’: 하느님을 만나 뵙는 지성소


인간은 하느님을 발견함으로서 자기를 발견하고자기를 분석함으로써만 하느님을 인식한다무한하고 영원하고 절대존재인 분에게 창조 받은 영혼이기에, ‘무한과 영원과 절대의 잔상이 영혼에 새겨져 있으리라는 직감이다10권 전반부(10,6,8-27,38)에서는 이 기억을 분석하여 하느님께 다가가는 사다리를 찾아낸다. ‘기억이라면 그에게 의식과 무의식을 통틀어 말하는 지성’ 자체를 가리키기도피조물이 창조주에게 맞닿아 있는 존재의 뿌리를 가리키기도 한다. “기억의 위력바닥 모르고 한정이 없는 그 다면성바로 이것이 영혼이고 바로 이것이 나 자신입니다.”(10,17,26) 진선미의 온갖 경험을 두고서 긍정판단을 내리는 능력도 기억이다. “그것들이 언급될 적에 그렇다참말이다.’는 말을 내가 했는데이미 기억 속에 자리 잡고 있었기 때문이 아니라면 어디서 혹은 어째서 그렇게 했다는 말입니까?”(10,10,17)


그리스도교의 가장 심오한 교리를 사변적으로 확립한 아우구스티누스의 삼위일체론(성염 역주분도출판사 2016)도 기억을 매개로 한다삼위일체 신비는 사후에도 영원히 탐구해야 할 대상일 텐데 무슨 수로 이 교리에 접근할까 궁리하던 교부는하느님 모상인 인간의 기억을 분석하여 모상의 원형인 하느님의 구조를 추정해보겠다고 나셨다. ‘기억하는 나’, ‘기억되는 나’, ‘그 사이에 오가는 내 기억이 온전히 하나면서도 구분이 되더라는 착상이다.


기억의 저 능력은 크기도 합니다너무 큽니다광활하고 무량한 지밀입니다과연 누가 그 밑바닥에까지 이른 적 있습니까엄연히 내 정신의 능력이고 내 본성에 속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정작 나 자신마저도 나를 전부 못 차지합니다.”(10,8,15) 인간이 하느님을 만나 뵙는 지성소가 기억이라는 이 심연이었다어디서 당신을 만나 뵐 수 있습니까내 기억 밖에서 당신을 뵙는다면 당신을 내가 기억 못한다는 말입니다또 당신을 내가 기억하고 있지 못한다면 어디서 어떻게 당신을 만나 뵙겠습니까?(10,17,26)

현대 천문학 개념으로 130억년의 지름을 가진 우주도 인간 의식 속에서는 한낱 동그라미일 뿐 지성은 그 동그라미 바깥에 서서 바라본다무량하고 영원한 하느님마저도 개념상으로는 동그라미에 가두고서 신학을 편다그래서 교부는 다짐한다. “나는 기억이라고 불리는 나의 이 힘마저 통과해 넘겠습니다보십시오나는 내 영혼을 통해서 당신께로까마득하게 멀리 내 위에 머무시는 당신께로 오르면서 기억이라 불리는 나의 이 힘마저 통과해 넘겠습니다.” (10,17,26)


사람이 사물을 사유하면서 자기가 인식주체로서 지금 사물을 인식하고 있다는 사실을 의식하는데 교부는 인간 의식이 모든 인식대상을 부단히 초월하면서 절대지평을 향해 시선을 확대시키는 어떤 추동력을 기억이라고 부르고 있다(10,22,32-23,34). “내가 당신을 배워 알게 된 그것으로부터 당신을 잊은 적이 없었습니다내가 진리를 찾아 만난 곳에서 진리 자체이신 내 하느님을 만나 뵈었습니다그러니 내가 당신을 배워 알았을 그것으로부터 당신은 내 기억 속에 머물러계시며 당신을 기억하고 당신을 두고 기쁨을 느낄 적마다 거기서 당신을 만나 뵙습니다.”(10,24,35)


이처럼 난해한 인식론적 사색을 개진하면서도 한때 자력구원과 진리터득을 자신하던 지성인이 지금은 소박한 그리스도신자요 설교가로 돌아와 있음을 끝기도가 잘 보여준다. “좋으신 아버지당신께서 우리를 얼마나 사랑하셨으면 당신 외아드님마저 아끼지 않으셨고 우리 불경한 자들을 위해서 그를 넘겨주셨습니다당신의 저 외아드님그 안에 지혜와 지식의 모든 보물이 숨겨져 있습니다.”(10,43,70)

문서 첨부 제한 : 0Byte/ 8.00MB
파일 제한 크기 : 2.00MB (허용 확장자 : *.*)
주제
아우구스티누스의 “행복한 사람” (2013.12.18)
by 관리자 on 2021-05-02 10:15
0 1646
by 관리자
on 2021-05-02 10:34
베르길리우스와 아우구스티누스의 비극 이해 (2017.11.25) file
by 관리자 on 2021-05-01 19:23
0 1301
by 관리자
on 2021-05-02 10:07
“진리여, 늦게야 당신을 사랑했습니다!”: 아우구스티누스의 「고백록」(2015.11)
by 관리자 on 2021-04-30 11:10
0 1505
by 관리자
on 2021-04-30 11:10
도올선생과 함께 하는, 성염 교수의 아우구스티누스 강의 (2016.6.20)
by 관리자 on 2021-04-30 10:50
0 1170
by 관리자
on 2023-06-27 11:22
서양 고전과 그 역사적 의미: 아우구스티누스 『고백록』과 『신국론』 (2020.10.17)
by 관리자 on 2021-04-30 10:46
0 1290
by 관리자
on 2021-04-30 10:46
Homo capax dei (인간, 하느님을 포괄하는 존재) 아우구스티누스, "영혼의 불멸과 크기" (2021.3.6)
by 관리자 on 2021-04-30 09:57
0 1742
by 관리자
on 2022-02-05 08:08
두 개의 사랑 두 개의 정치 - 아우구스티누스의 「신국론」에서 펼쳐진 역사의 새로운 지평 (2019.11.9)
by 관리자 on 2021-04-30 09:50
0 1382
by 관리자
on 2021-04-30 10:07
[고백록 읽기] 아우구스티노의 우주찬가 (경향잡지 2017.12)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6:03
0 1210
by 관리자
on 2021-04-19 06:03
[고백록 읽기] 인간, 하느님을 담을 수 있는 존재 (경향잡지 2017.11)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6:00
0 1197
by 관리자
on 2021-04-19 06:00
[고백록 읽기] 아우구스티누스의 사모곡 (경향잡지 2017.10)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59
0 1063
by 관리자
on 2021-04-19 05:59
[고백록 읽기] ‘하느님의 승부욕’ (경향잡지 2017.9)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58
0 1061
by 관리자
on 2021-04-19 05:58
[고백록 읽기] “사랑이 진리를 깨닫게 한다” (경향잡지 2017.8)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56
0 3375
by 관리자
on 2021-04-19 05:56
[고백록 읽기] 아우구스티노의 ‘정치적 사랑’ - ‘세상에 대한 사랑’과 ‘사회적 사랑’ (경향잡지 2017.7)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54
0 1159
by 관리자
on 2021-04-19 05:54
[고백록 읽기] "달려가거라! 내가 안고 오리라" (경향잡지 2017.6)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52
0 1052
by 관리자
on 2021-04-19 05:52
[고백록 읽기] “내가 내 자신에게 커다란 수수께끼” (경향잡지 2017.5)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50
0 1141
by 관리자
on 2021-04-19 05:50
[고백록 읽기] “아! 진리여, 진리여, 그대 내 하느님이시니” (경향잡지 2017.4)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48
0 1055
by 관리자
on 2021-04-19 05:48
[고백록 읽기] “내 나이 열여섯” (경향잡지 2017.3)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47
0 1131
by 관리자
on 2021-04-19 05:47
[고백록 읽기] 당신 창조계의 작은 조각 하나가 (경향잡지 2017.2)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45
0 1106
by 관리자
on 2021-04-19 05:45
['고백록' 읽기-1] 잔에 담긴 물을 보고도 바다를 상상하던… (경향잡지 2017.1)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38
0 1034
by 관리자
on 2021-04-19 05:52
[아우구스티노를 만나다 ⑥ 신국론] 하느님 나라의 초석: 사회적 사랑 [경향잡지 2012.6]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32
0 1112
by 관리자
on 2021-04-19 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