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성염의 읽기쉬운 사회교리
  2. 성염교수의 신앙칼럼
  3. 살아온 이야기
  4. 언론 인터뷰와 칼럼
  5. 신문방송에 비친 성염교수
  6. 가장 최근 칼럼
  7. 지리산人

아우구스티노의 고백록」 읽기                           (경향잡지 2017년 1월호)

 

잔에 담긴 물을 보고도 바다를 상상하던

 

_성염


크기변환_IMG_8344.JPG   크기변환_IMG_8346.JPG

 

소싯적부터 조그만 잔에 담긴 물을 보고도 나는 바다를 상상할 수 있었다.”

1600년 전 로마제국의 속주 누미디아의 타가스테(오늘날 북아프리카 알제리의 수크아라스)라는 마을에 아우렐리오 아우구스티노라는 소년이 살았다너무 조숙했다. “비록 내륙에서 태어나고 자랐지만 조그만 잔에 담긴 물을 보고도 나는 바다를 상상할 수 있었다”(서간집」 3.6).

중년 나이에 그는 히포의 주교가 되어 어느 날 바닷가를 거닐며 사색에 잠겨있었다그리스도교의 가장 심오한 신비 삼위일체를 궁리하고 싶었다모래톱에 조그만 구덩이를 파놓고 조개껍데기로 부지런히 바닷물을 퍼 나르는 아이가 헛보였다.

얘야뭐하려고 물을 퍼 나르니?” “저 바닷물을 모조리 퍼 담으려고요.” “예끼요 작은 구멍에 저 많은 바닷물을 어떻게 퍼 담는다는 말이냐?” “그럼아저씨 작은 머리로 삼위일체 하느님을 어떻게 알아들으려고요?”

이 말을 남기고 연기처럼 사라졌다는 아이는 교부의 자화상이기도 했다창조주의 모상으로 만들어진 인간이기에 저 무한자를 머리와 마음에 담을 역량이 있으리라는 신념은 20여 년 걸려후대 모든 삼위일체 신학의 교본이 되는 삼위일체론(성염 역주분도출판사, 2015)을 집필해 냈다.

끝으로서기 430서양사의 기적이라고 전해오는 로마제국이 무너지는 굉음을 들으면서 인류사의 지평선을 내다보는 역사신학서 신국론(성염 역주분도출판사, 2004)을 마친 얼마 뒤북아프리카를 초토화한 반달족에 포위된 히포에서 바오로 사도 다음가는 위대한 사상가는 76세 나이로 눈을 감으며 중얼거렸다. “어리석게도 나는 모든 것을 머리로 알아듣고 싶었어.”

젊어서부터 진리여진리여저 사람들이 그렇게도 흔하게 그렇게도 다채롭게때로는 소리로만 때로는 많고도 커다란 책자로 당신을 말소리로 드러낼 때내 영혼의 골수가 얼마나 당신을 속으로 사무치게 그리워했습니까!”(고백록」 3.6.10)라던 그는 자기가 장차 발견할 진리에 일찌감치 내 하느님이라는 거대한 호칭을 붙여두었다.

 

내 작품 중 어느 것이 고백록보다 더 많이 알려지고 사랑받을까?”

8세기 이전의 그리스도교 학자들을 교부(敎父)’라고 통칭한다그들 가운데 중세는 물론 현대에 와서도 저서가 부단히 읽히는거의 유일한 인물이 아우구스티노다그는 생전에 100책이 넘는 저작을 남기고서도 내 작품 중 그 어느 것이 고백록보다 더 많이 알려지고 사랑받을 수 있을까?” 하며 고백록을 대표작으로 여겼다우리말로도 개신교에서 30여 종의 중역본이 나올 만큼 인기가 있고가톨릭에서는 시인 최민순 신부님의 감칠맛 나는 번역본 고백록님 기림의 찬가(바오로딸, 1965)가 반세기 넘게 읽혀왔다.

은사인 최 신부님의 훌륭한 번역본이 있음에도 필자가 라틴어 원문 역주본(경세원, 2016)을 새로 낸 것은, ‘세계문학전집에 필수로 들어가는 이 명저에 그리스도인이 아닌 독자들도 무난히 접근하게 돕는 주해가 필요했다또한 학술용 원문 번역본이 나올 시기가 되었다는(특히 후반부 시간론과 창조론을 이해하려면 좀 담담한 직역이 낫다는생각에서였다.

전체 13()으로 엮어진 이 책의 전반부(1-10)는 자기 생애를 돌이켜보면서 하느님께서 베풀어주신 구원의 은총에 바치는 찬미의 고백이다후반부(11-13)는 창조주께 드리는 우주찬가특히 제9권은 성인이 당신 어머니 모니카에게 바치는 사모곡(思母曲)에 해당한다.

첫 권부터 독자들과 함께 읽어가자면그 맨 앞(1.1-5.6)은 고백록」 전부를 다듬은 간추림에 해당하므로 차근차근 읽어둘 만하다첫 줄부터 탄성이 나온다.

주님당신께서는 위대하시고 크게 찬양받으실 분이십니다그리고 인간당신 창조계의 작은 조각 하나가 당신을 찬미하고 싶어 합니다”(1.1.1). 신앙인이 자기 살아온 얘기를 하자면 저지른 죄를 돌이켜보면서 하느님의 자비가 자기 인생 무대에서 어떻게 펼쳐졌는지를 찬탄하는 고백이자 찬미일 수밖에.

의도는 간결하다. “제가 당신 자비 앞에서 말씀을 드리게 해주십시오흙이요 먼지인 제가 말씀을 드리게 잠자코 두십시오.”(1.6.7) 하면서도 이런 이야기를 제가 누구에게 하는 것입니까저의 하느님당신 앞에서 저의 족속에게이 글을 접하게 될 인간 족속에게 이야기하는 중입니다.”(2.3.5)라고 아뢴다.

독자들이 내 선업을 두고는 안도의 한숨을내 악업을 두고는 탄식의 한숨을 쉬라고나의 선업은 당신의 업적이자 당신의 선물이며 나의 악업은 내 죄악이자 당신의 심판이라고그토록 많은 내 죄에서 내가 누구 덕분에 빠져나왔는지 보았을 테니까 자기들도 바로 그분 덕분에 그 많은 죄의 질병에 시달리지 않았음을 보리라.”(2.7.15)는 기대에서다.

 

당신 안에 쉬기까지는 저희 마음이 안달합니다, 주님!”

소싯적부터 목마름을 덜어주는 한 모금 물에서 끝없는 바다를 떠올렸듯이배고파 맛있는 음식을 먹는 포만감눈앞에 잔 꽃송이 하나의 경이여인을 포옹하는 도취순간순간 감지하고 깨닫는 모든 지식에서 그는 절대적이고 무한한 어떤 것이 함께 인지되고’ ‘함께 욕구하게 되고’ ‘함께 사랑받고 있다는 감촉을 느꼈다그러면서도 순간마다 욕심내는 대상과 일평생을 걸고 사랑할 만한 대상 사이의 엄청난 거리연인의 포옹 중에도 엄습하는 고독과 불안은 저 절대지평’(絶對地平)으로 그의 시선을 돌리게 하였다.

태어날 때부터 갈망하고 찾아 헤매는 대상을 기어이 손에 넣어 누려야만 인간은 행복해지리라고 절감하였다교부는 막연하면서도 처절하게 그리운 그 대상에게 당신을 향해서 저희를 만들어놓으셨으므로 당신 안에 쉬기까지는 저희 마음이 안달합니다.”(1.1.1)라고 실토하였다고백록의 주제가 되는 명문이다.

저주스러워라저주스러워라얼마나 숱한 층층대를 밟아 지옥의 밑바닥까지 끌려갔던 것입니까그러면서도 진리에 허덕이며 맘 졸이고 애태우면서저의 하느님당신을 찾아가고 있었습니다”(3.6.11).

하느님이 아니고서는 그 무엇도 인간의 부족함을 채우기에 충분하지 못하다는 신념이 평생 그를 방황하게 하였다점성술로마니교로회의론으로 흐르던 방랑여성 탐닉과 황실 교수직과 출세를 만끽하던 욕망에서도 그는 자기를 구석으로 몰아세우는 하늘 사냥개의 추격을 늘 뒷덜미에서 느껴 당신 말씀이 제 폐부에 박혀있어서 저는 어디로나 당신께 에워싸여 있었습니다.”(8.1.1)라고 자백할 도리밖에 없었다.

그러면 무엇을 알고 싶은가?” “하느님과 영혼을 알고 싶다.” “더는 아무것도 없는가?” “전혀아무것도 없다”(독백」 1.2.7). 이러한 대담처럼우구스티노는 판관시대의 거인 삼손처럼 하느님과 인간이라는 두 기둥에 묶여 한평생 사색의 연자방아를 돌렸다.

하느님은 늘 숨어계시고 인간은 자신에게도 늘 수수께끼였다. “당신께서는 제게 무엇이 되십니까제가 당신께 무엇이기에 저 같은 것에게 당신을 사랑하라고 명하십니까또 그렇게 아니 하면 저에게 진노하시고엄청난 비참을 내리시겠다고 으르십니까?”(1.5.5)

이 두 존재가 씨름하는 모습을 프란치스코 교황은 자비와 비참이 마주 섰다고 형용하는데 아우구스티노가 진리이신 분에게 듣고 싶었던 답변은 이랬다아아저의 하느님당신의 자비를 베푸시어저에게 당신이 무엇이 되시는지 말씀해 주십시오저의 영혼에 말씀해 주십시오, ‘나는 너의 구원이다!’ 하고”(1.5.5).

서문이 끝나면 하늘과 땅의 주님당신께 고백합니다제가 기억도 하지 못하는 저의 시초와 갓난아이 시절을 들어 당신을 기리렵니다.”(1.6.10)라며 유아기와 소년기 얘기로 넘어간다. +

 

문서 첨부 제한 : 0Byte/ 8.00MB
파일 제한 크기 : 2.00MB (허용 확장자 : *.*)
주제
아우구스티누스의 “행복한 사람” (2013.12.18)
by 관리자 on 2021-05-02 10:15
0 1646
by 관리자
on 2021-05-02 10:34
베르길리우스와 아우구스티누스의 비극 이해 (2017.11.25) file
by 관리자 on 2021-05-01 19:23
0 1301
by 관리자
on 2021-05-02 10:07
“진리여, 늦게야 당신을 사랑했습니다!”: 아우구스티누스의 「고백록」(2015.11)
by 관리자 on 2021-04-30 11:10
0 1504
by 관리자
on 2021-04-30 11:10
도올선생과 함께 하는, 성염 교수의 아우구스티누스 강의 (2016.6.20)
by 관리자 on 2021-04-30 10:50
0 1170
by 관리자
on 2023-06-27 11:22
서양 고전과 그 역사적 의미: 아우구스티누스 『고백록』과 『신국론』 (2020.10.17)
by 관리자 on 2021-04-30 10:46
0 1288
by 관리자
on 2021-04-30 10:46
Homo capax dei (인간, 하느님을 포괄하는 존재) 아우구스티누스, "영혼의 불멸과 크기" (2021.3.6)
by 관리자 on 2021-04-30 09:57
0 1742
by 관리자
on 2022-02-05 08:08
두 개의 사랑 두 개의 정치 - 아우구스티누스의 「신국론」에서 펼쳐진 역사의 새로운 지평 (2019.11.9)
by 관리자 on 2021-04-30 09:50
0 1382
by 관리자
on 2021-04-30 10:07
[고백록 읽기] 아우구스티노의 우주찬가 (경향잡지 2017.12)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6:03
0 1210
by 관리자
on 2021-04-19 06:03
[고백록 읽기] 인간, 하느님을 담을 수 있는 존재 (경향잡지 2017.11)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6:00
0 1197
by 관리자
on 2021-04-19 06:00
[고백록 읽기] 아우구스티누스의 사모곡 (경향잡지 2017.10)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59
0 1063
by 관리자
on 2021-04-19 05:59
[고백록 읽기] ‘하느님의 승부욕’ (경향잡지 2017.9)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58
0 1061
by 관리자
on 2021-04-19 05:58
[고백록 읽기] “사랑이 진리를 깨닫게 한다” (경향잡지 2017.8)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56
0 3375
by 관리자
on 2021-04-19 05:56
[고백록 읽기] 아우구스티노의 ‘정치적 사랑’ - ‘세상에 대한 사랑’과 ‘사회적 사랑’ (경향잡지 2017.7)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54
0 1159
by 관리자
on 2021-04-19 05:54
[고백록 읽기] "달려가거라! 내가 안고 오리라" (경향잡지 2017.6)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52
0 1052
by 관리자
on 2021-04-19 05:52
[고백록 읽기] “내가 내 자신에게 커다란 수수께끼” (경향잡지 2017.5)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50
0 1139
by 관리자
on 2021-04-19 05:50
[고백록 읽기] “아! 진리여, 진리여, 그대 내 하느님이시니” (경향잡지 2017.4)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48
0 1055
by 관리자
on 2021-04-19 05:48
[고백록 읽기] “내 나이 열여섯” (경향잡지 2017.3)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47
0 1131
by 관리자
on 2021-04-19 05:47
[고백록 읽기] 당신 창조계의 작은 조각 하나가 (경향잡지 2017.2)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45
0 1104
by 관리자
on 2021-04-19 05:45
['고백록' 읽기-1] 잔에 담긴 물을 보고도 바다를 상상하던… (경향잡지 2017.1)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38
0 1033
by 관리자
on 2021-04-19 05:52
[아우구스티노를 만나다 ⑥ 신국론] 하느님 나라의 초석: 사회적 사랑 [경향잡지 2012.6]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32
0 1112
by 관리자
on 2021-04-19 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