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성염의 읽기쉬운 사회교리
  2. 성염교수의 신앙칼럼
  3. 살아온 이야기
  4. 언론 인터뷰와 칼럼
  5. 신문방송에 비친 성염교수
  6. 가장 최근 칼럼
  7. 지리산人

[아우구스티노스를 만나다]

(경향잡지 2012. 6월호)

 

하느님 나라의 초석사회적 사랑

신국론(De civitate Dei)

 

영원한 로마의 붕괴


크기변환_1550IMG_0436.JPG고대세계의 가장 위대한 역사적 경이에 해당하는 로마 제국이 5세기에 들어와 급격한 쇠퇴와 붕괴의 조짐을 보이기 시작하더니서기 410년 8월 24일 고트족의 알라릭이 로마를 함락시키고 입성한 다음 대학살과 방화와 약탈을 저지르고 퇴각하는 미증유의 사건이 발생하였다이 사건으로 `영원한 로마'(Roma aeterna)에 대한 제국 신민 전체의 사상적 붕괴가 만연하자 아우구스티누스의 지인들은 이 사건을 이념적으로 감당할만한 저서를 집필해 달라는 부탁을 히포의 주교에게 해온다.


본인도 일찍이 인간 역사의 두 축으로서 `하느님 나라'와 `지상의 나라'라는 주제를 한번 다루어 보겠다는 마음을 품고 있던 터였으므로이 대재앙에 뒤따른 정신적 혼돈을 두고 철학자로서 신학자로서 신비가로서 성찰을 모색한다그리하여 15년의 기나긴 세월에 걸쳐 인류지성사의 대작이라 할 신국론(성염 역주분도출판사 2004)을 집필한다. 412년에 집필에 착수하여 427년 조금 전에 마친 것으로 추정된다.


3천 년대에 들어서면서 세계최강을 자랑하던 미국이 소위 ‘9.11 테러를 당한 후유증으로아프가니스탄이라크리비아를 상대로 벌이는 무차별한 군사행동, UN을 허수아비로 만들고 국제정치와 세계윤리를 완전히 붕괴시켜 버린 그 포학성 앞에서 속수무책으로 지켜보고만 있어야 하는 인류 지성계의 심각한 번뇌는 신국론이 현대에도 읽힐만한 명분이 되고 남는다세계문학전집에 이 책이 빠지는 일이 거의 없다.


하느님의 도성(civitas Dei)'을 다룬 신국론은 다섯 단원, 22권으로 나누어진다전반부(1-10)는 로마 몰락이 그리스도교 탓이라던 로마 지성인들에게 건네는 호교론으로그들의 종교와 역사가 정치사회에도도덕적 문화에도 불완전했음을 밝혀 보인다.


후반부는 인류 역사를 구세사(救世史)로 관조하면서 하느님의 도성의 역사적 기원(11-14우주의 창조와 천사의 기원천사들의 범죄와 타락인간의 창조와 인류의 단일성죽음이 죄벌로 의식되는 근거인간 의지의 퇴락), 하느님 도성의 역사적 전개(15-18성서를 역사 문헌으로 간주하여 인류사를 인간 아벨부터 노아 홍수까지대홍수부터 아브라함까지열왕기 이후로 예언자 시대까지그리고 지상 도성의 그리스도 시대로 구분한다), 하느님 도성의 종말(19-22최고선 문제평화의 개념최후심판그리스도교의 직선적 시간관천년왕국설총괄갱신(總括更新)과 영원회귀설육신 부활과 영원한 지복)을 다룬다.

 

"두 사랑이 두 도성을 이룬다"


독자는 국가란 법정의(法正義)에 관한 공통된 인식과 공동의 이해관계에 의하여 연합된 결사체"라는 키케로의 정의가 교부 아우구스티누스에 의해서 국민이란 사랑할 대상에 대해서 서로 합의함으로써 한데 뭉친 이성적 존재들”(신국론 19.24)로 발전하는 점에 유념하게 된다교부는 정의(正義없는 국가는 강도떼”(4.4)고 성토하면서 정치의 궁극목표인 "평화는 정의의 열매라는 신념을 주창한다그러면서도 "참다운 정의는 그리스도께서 창건자요 통치자가 되는 그 공화국에서뿐"(2.21)임을 절감하고서 정의 대신 사랑이 국민을 구성하고 "두 사랑이 있어 두 도성을 이룬다"는 교부의 명제에 우리는 신선한 느낌을 받는다.


인간 실존의 중력(重力)인 사랑(11.28)이야말로 인간의 가장 심원한 본능이다개인의 삶에서도 인류의 역사에서도 사랑이 이기적(利己的사랑과 위타적(爲他的사랑 혹은 자기 사랑과 하느님 사랑으로 갈라지며 그런 사랑이 인류사의 두 축을 구성한다는 교부의 혜안이 이 책을 관통한다.


두 가지 사랑이 두 도성을 건설했다하느님을 멸시하기까지 이르는 자기 사랑이 지상 도성을 만들었고자기를 멸시하면서까지 하느님을 사랑하는 사랑이 천상 도성을 만들었다.”(14.28) 다른 저작에서 아우구스티누스는 이 두 사랑을 구체화하여 '사사로운 사랑'(amor privatus)과 `사회적인 사랑'(amor socialis)이라고 명명한다.


"두 사랑이 있으니 하나는 순수하고 하나는 불순하다하나는 사회적 사랑이요 하나는 사사로운 사랑이다하나는 상위의 도성을 생각하여 공동의 유익에 봉사하는데 전념하고하나는 오만불손한 지배욕에 사로잡혀 공동선마저도 자기 권력하에 귀속시키려는 용의가 있다하나는 하느님께 복속하고 하나는 하느님께 반역한다하나는 이웃을 다스려도 이웃의 이익을 생각하여 다스리지만 하나는 자기 이익을 위하여 다스린다천사들로부터 시작해서 한 사랑은 선한 자들에게 깃들고 한 사랑은 악한 자들에게 깃들어서 두 도성을 가른다."(창세기 축자해석 11.15.20)


베네딕토 16세가 자기 교황직의 기조문서에 해당하는 회칙 하느님은 사랑이시다(2005)에서 이 사회적 사랑의 실천을 평신도가 수행할 정치활동이라고 규정한 것은 참으로 뜻 깊은 가르침이다. “정의로운 사회 질서를 위하여 일할 직접적인 의무는 평신도들에게 속하는 것입니다국민으로서 평신도들은 경제사회입법행정문화 등 수없이 많은 여러 분야에서 조직적으로 제도적으로 공동선을 증진시켜야 하는’ 참여 의무를 거부할 수 없습니다.... 평신도들의 삶 전체와 사회적 사랑을 실천하는 그들의 정치 활동이 언제나 사랑에 젖어 들어야 합니다.”(29)


다만 신앙인은 역사적 투신 속에서도 언제나 사회 조건 전체에 종말론적 단서(但書)를 붙이는 여유를 갖는다우주와 인류의 시원에는 창조주 하느님이 계시며역사의 도정은 그리스도께서 은총으로 인류와 함께하시며역사의 종말에 완성되는 하느님 도성은 "진리를 군주로사랑을 법도로영원을 척도로 두는 사회", “진리가 승리자요 거룩함이 품위가 되고 평화가 행복이요 생명은 곧 영원"이리라(2.29.2). 이 원대한 목표를 향해서 신앙인은 지금 여기서 역사의 도정을 밟아가고 있다.

 

사랑이란 빠르기도 해라


아우구스티누스는 일찍이 자기 철학의 대상을 하느님과 인간으로 규정한 바 있다필생의 역작 신국론에서도 그는 인간과 세계를 하느님과 연관시켰다진정한 지성인은 하느님에게서 존재의 원인을 발견하고 인식의 근거를 찾아내며 삶의 규범을 얻어내야 마땅하다우리 존재가 더 이상 죽음을 모르고 우리의 인식이 더 이상 오류에 떨어지지 않으며 우리의 사랑이 더 이상 좌절하지 않을”(11.28) 실존을 살고 싶은 희망에서였다.


서기 430년 8월 28그날 히포의 들녘에는 사람 소리가 들리지 않았다그날은 반달족들마저 히포를 에워싼 진영 속에 숨을 죽이고 조용히 머물러 있었다하늘은 맑았고 바다는 고요하기 이를 데 없었다방파제 가까운 바위 틈새로 물결이 일렁이면서 사람들이 버려둔 배 두 척만이 가벼이 선체를 부딪치고 있었다흡사 입맞춤하는 것처럼....”(C.크레모나[성염 역], 성아우구스티누스, [바오로딸 1992] 366)


반달족이 로마 제국의 북아프리카를 완전히 초토화한 다음 아우구스티누스가 주교로 봉직해온 히포를 포위한 상태에서제국 로마가 무너져 내리는 굉음을 들으면서 임종을 맞은 교부의 시선은 역사의 종국어느 날 온 인류가 맞이할 안식일을 이미 바라보고 있었다. “그 날의 끝은 저녁이 아닐 것이고 오직 주님의 날영원한 이렛날이리라그 때 우리는 쉬면서 보게 되리라보면서 사랑하게 되리라사랑하면서 찬미하게 되리라.”(22.30.5)

 

 

 

문서 첨부 제한 : 0Byte/ 8.00MB
파일 제한 크기 : 2.00MB (허용 확장자 : *.*)
주제
아우구스티누스의 “행복한 사람” (2013.12.18)
by 관리자 on 2021-05-02 10:15
0 1646
by 관리자
on 2021-05-02 10:34
베르길리우스와 아우구스티누스의 비극 이해 (2017.11.25) file
by 관리자 on 2021-05-01 19:23
0 1301
by 관리자
on 2021-05-02 10:07
“진리여, 늦게야 당신을 사랑했습니다!”: 아우구스티누스의 「고백록」(2015.11)
by 관리자 on 2021-04-30 11:10
0 1504
by 관리자
on 2021-04-30 11:10
도올선생과 함께 하는, 성염 교수의 아우구스티누스 강의 (2016.6.20)
by 관리자 on 2021-04-30 10:50
0 1170
by 관리자
on 2023-06-27 11:22
서양 고전과 그 역사적 의미: 아우구스티누스 『고백록』과 『신국론』 (2020.10.17)
by 관리자 on 2021-04-30 10:46
0 1288
by 관리자
on 2021-04-30 10:46
Homo capax dei (인간, 하느님을 포괄하는 존재) 아우구스티누스, "영혼의 불멸과 크기" (2021.3.6)
by 관리자 on 2021-04-30 09:57
0 1742
by 관리자
on 2022-02-05 08:08
두 개의 사랑 두 개의 정치 - 아우구스티누스의 「신국론」에서 펼쳐진 역사의 새로운 지평 (2019.11.9)
by 관리자 on 2021-04-30 09:50
0 1382
by 관리자
on 2021-04-30 10:07
[고백록 읽기] 아우구스티노의 우주찬가 (경향잡지 2017.12)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6:03
0 1210
by 관리자
on 2021-04-19 06:03
[고백록 읽기] 인간, 하느님을 담을 수 있는 존재 (경향잡지 2017.11)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6:00
0 1197
by 관리자
on 2021-04-19 06:00
[고백록 읽기] 아우구스티누스의 사모곡 (경향잡지 2017.10)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59
0 1063
by 관리자
on 2021-04-19 05:59
[고백록 읽기] ‘하느님의 승부욕’ (경향잡지 2017.9)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58
0 1061
by 관리자
on 2021-04-19 05:58
[고백록 읽기] “사랑이 진리를 깨닫게 한다” (경향잡지 2017.8)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56
0 3374
by 관리자
on 2021-04-19 05:56
[고백록 읽기] 아우구스티노의 ‘정치적 사랑’ - ‘세상에 대한 사랑’과 ‘사회적 사랑’ (경향잡지 2017.7)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54
0 1159
by 관리자
on 2021-04-19 05:54
[고백록 읽기] "달려가거라! 내가 안고 오리라" (경향잡지 2017.6)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52
0 1052
by 관리자
on 2021-04-19 05:52
[고백록 읽기] “내가 내 자신에게 커다란 수수께끼” (경향잡지 2017.5)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50
0 1139
by 관리자
on 2021-04-19 05:50
[고백록 읽기] “아! 진리여, 진리여, 그대 내 하느님이시니” (경향잡지 2017.4)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48
0 1055
by 관리자
on 2021-04-19 05:48
[고백록 읽기] “내 나이 열여섯” (경향잡지 2017.3)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47
0 1131
by 관리자
on 2021-04-19 05:47
[고백록 읽기] 당신 창조계의 작은 조각 하나가 (경향잡지 2017.2)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45
0 1104
by 관리자
on 2021-04-19 05:45
['고백록' 읽기-1] 잔에 담긴 물을 보고도 바다를 상상하던… (경향잡지 2017.1)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38
0 1033
by 관리자
on 2021-04-19 05:52
[아우구스티노를 만나다 ⑥ 신국론] 하느님 나라의 초석: 사회적 사랑 [경향잡지 2012.6]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32
0 1111
by 관리자
on 2021-04-19 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