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성염의 읽기쉬운 사회교리
  2. 성염교수의 신앙칼럼
  3. 살아온 이야기
  4. 언론 인터뷰와 칼럼
  5. 신문방송에 비친 성염교수
  6. 가장 최근 칼럼
  7. 지리산人

crop-04.jpg

[고백록읽기 3]

(경향잡지 2017년 4월)

 

진리여진리여그대 내 하느님이시니

 

저는 카르타고로 왔고 거기서는 죄스러운 애욕의 냄비가 사방에서 저를 달구고 튀겼습니다아직 사랑하지 못하던 터여서 그냥 사랑하기를 사랑할 뿐이었으며 영문 모를 허전함 때문에 오로지 사랑하기를 사랑하면서 사랑할 만한 꺼리를 찾아 헤맸습니다.”(고백록 3.1.1)


철학사에서 누구보다 마음의 논리를 따라서 살았고그래서 현대의 실존철학의 원조로 불리는 아우구스티누스그가 카르타고 극장의 연극에 몰입하고 특히나 베르길리우스의 서사시 아이네이스에 심취하던 대목에서 고백록의 독자들은 알아본다호머의 주인공 율리시즈처럼베르길리우스의 주인공 아이네아스처럼, ‘운명이 지워준 소명을 향해부단히 아른거리는 절대지평을 향해 부단히 방황하고 난파하고 다시 솟구쳐 오르는 한 지성인의 눈길을!


궁극적인 것불변하는 진리, ‘저녁이 없고 해넘이도 없는’ 안식(13.36.51)을 찾아가는

여로에서 그는 머물던 땅(타가스테카르타고로마밀라노)사랑하던 여인들도수사학 대가와 황실 교수직이라는 출세가도도자기가 섭렵한 당대의 온갖 사상(마니교와 점성술아카데미아 회의론과 플라톤철학)도 뒤로 하고 오로지 사랑하기를 사랑하는” 방랑자였다.

 

고백록진리에 바치는 연가


알렉산더 제국과 로마제국을 이룬 두 민족 아테네인과 로마인은 취향이 퍽 달랐다예를 하나 들자면 두 도시 다 흥행을 좋아하여 해마다 5월이면 예선을 거친 작품으로 연극제를 열었는데 수상작가의 작품들을 4부연작으로 상연했다그런데 아테네인들은 비극 작품 셋과 맛보기로 희극 하나를 공연했고 로마인들은 비극을 감당 못해 비극 한 편과 희극 세 편을 상연했다.


워낙 실용적이고 구상적이던 로마인들은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난해한 형식논리와 뜬구름 잡는 형이상학을 아예 이해 못했고 인생철학에 해당하는 스토아에 겨우 호감을 보였다그들에게 언어란 웅변’, 철학이란 삶의 예술’(키케로이상도 이하도 아니었다그런데 열아홉 살에 아리스토텔레스의 범주론을 혼자서 독해하던 로마인이 철학하며 살자!’는 요지로 쓴 키케로의 책 한 권을 읽고서 야심찬 삶의 진로를 진리 탐구로 아예 바꿔버렸으니 바로 아우구스티누스다철학사는 후대에 그리스와 로마의 문명을 일컫는 헬레니즘과 유다 그리스도교의 헤브라이즘을 서구문명으로 한데 합류시킨 양수리(兩水里)로 그를 평가한다.


키케로라는 사람의 호르텐시우스라는 책이 제 성정을 아주 바꾸어 놓았고 제 소원과 열망을 딴 것으로 만들어버렸습니다이때까지 품어왔던 저의 헛된 희망은 어느덧 모조리 시들해졌고 저의 마음은 이제 불멸의 지혜를 추구하는 욕구로 믿기지 않을 만큼 헐떡이기 시작했습니다.”(3.4.7) 그는 인간이 본질적으로 "진리를 찾아내려는 사랑에 사로잡혀 있다"(삼위일체론 15.8)고 단정했다.


성경을 제외하고 고백록이 그리스도교 세계에서 가장 널리 읽혀 오는 까닭은 진리에 대한 그의 열정이 이 책에 담겨 있어서다참된 종교(성염 역주분도 1988)에서 아우구스티누스는 로마인답게 강변한다철학은 자기 삶을 전부 내거는 무엇곧 참된 종교여야 한다고그렇지 못한 철학은 지성의 유희요 호기심에 불과하다고우리말로 처음 소개된 아우구스티누스 전기 소설이 구원(久遠)에의 불꽃(조철웅 역가톨릭출판사, 1965)이었듯이 그의 철학함은 시뻘건 혓바닥을 넘실거리면서 모든 것을 집어삼키는 불꽃이었다아리스토텔레스나 토마스데카르트칸트헤겔비트겐슈타인에게서 보는 형광등의 밝고도 차가운 빛이 아니었다.


진리여진리여저 사람들이 당신을 외칠 적에그렇게도 흔하게 그렇게도 다채롭게 당신을 소리 내어 드러낼 때에 제 영혼의 골수가 얼마나 당신을 속으로 사무치게 그리워했습니까!”(3.6.10)라면서 진리를 애당초 자기가 섬길 하느님으로 명명한다영원한 진리여당신께서 저의 하느님이시니 밤낮으로 당신을 향해 한숨짓습니다.”(7.10.16)


그리고 오랜 사상적 방랑 후 서른 나이에 자기가 찾던 진리를 나자렛 사람 예수 그리스도의 아버지라는 인격신에게서 발견하고서는 이렇게 선언한다. “이제 당신만을 사랑하니 저는 당신만을 섬길 각오가 되어 있습니다!”(독백 1.1.5) 과연 이후 44년간 수도자성직자영성가한 시대의 정신적 지도자로서 그는 남김없이 이 언약을 실천한다.


그러면서도 나머지 평생을 두고 끊임없이 되뇌던 탄식이 있다진리의 연인다운 철학적 유언이다늦게야 당신을 사랑했습니다(sero te amavi)이토록 오래되고 이토록 새로운 아름다움이시여늦게야 당신을 사랑했습니다!”(10.27.38)

 

호리고 호리면서 속고 속이던 마니교도 시절


저토록 결연하게 진리를 찾아 일평생 헌신하겠다던 젊은이가 마니교에 빠지다니“9년간의 세월곧 내 나이 열아홉 살부터 스물여덟 살까지 우리는 호리고 호리면서 갖가지 욕정에서 속고 속였습니다노골적으로는 자유학예라고 일컫는 학문들을 내세워남모르게는 종교라는 거짓 이름을 내세워저기서는 오만하고 여기서는 미신을 숭상하면서그리고 어디서든 허황하게 쏘다녔습니다.”(4.1.1)


아우구스티누스를 위시한 그리스도교 교부들의 성토문학에서만 흔적을 남겼던 마니교는 20세기에 투르키스탄의 투르판과 이집트의 파윰에서 마니교 고문서들이 대거 발견되면서 초대 그리스도교에 영지주의(靈知主義운동을 일으킨 빛의 종교로 본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마니교의 요체는 이원론(二元論)이다우주는 빛과 어둠선과 악 두 원리가 겨루는 투쟁의 대서사시로 묘사된다역사는 어쩌다 어둠의 세력에 사로잡혀간 빛의 분자들을 해방시키는 구세사란다태초와 투쟁과 해방의 3막으로 된빛과 선의 세계에는 위대한 아버지와 위대한 어머니와 위대한 영이 삼위일체를 이루어 어둠의 세력과 싸움을 벌인단다빛의 원리는 원초 인간’, ‘생명의 영’, ‘3사절을 차례로 우주에 파견하여 물질에 사로잡힌 빛의 분자들을 구출하고 해방한다니 신구약 성경에 익숙한 크리스도인들 귀에도 솔깃하였다.


일평생 자기가 저지르는 악의 탓을 누구에게 씌울까 고민하는 청년 아우구스티누스에게 무릎을 치게 한 교리는 바로 이 선악이원론이었다죄를 짓는 것은 우리가 아니고뭔지 모르지만 우리 안에 있는 다른 본성이며 그래서 탓이 나에게 없다.”(5.10.18)는 속임수였다!


페르시아에서 유래한 폐쇄적 밀교의식이라는 의혹을 사 로마 제국에서 걸핏하면 추방령을 받는 집단이 교도들끼리 서로 돕던 끈끈한 유대도 아우구스티누스의 마음에 들었다사실 카르타고에서 로마로 학원을 옮길 적에 손을 써주었고로마에 가자마자 숙식을 마련하고 중병에 걸린 아우구스티누스를 보살핀 사람도 부유한 마니교도 콘스탄티우스였다더구나 로마 시장 심마쿠스에게 줄을 대 밀라노 황실 교수직을 얻을 때도 그들의 후원을 입었다그의 특출한 언변을 밑천으로 황실에 뛰어난 마니교도 한 명을 심어놓으려는 계책이었으리라그러나 실제로는 이 종교사상의 허구를 깨닫는 날유럽에서 마니교를 결정적으로 타파할 인물을 후원하고 있었던 셈이다.


카르타고에서였다아들이 마니교에 빠져들었을 뿐더러 명석한 두뇌와 지도력을 이용해서 많은 지인들까지 마니교로 끌어들이는 짓을 보고 그의 어머니가 어느 주교를 찾아가 애걸했다제발 아들을 설득해 달라고그러자 나도 한때 그랬소댁의 아들도 잔뜩 들떠 상당수 풋내기들을 흔들어 놓고 있는 참이어서 아직 무엇을 배울 만한 사람이 아니오.”라더란다그래도 울며불며 매달리는 모니카에게 그 주교가 짜증을 내면서 던진 한 마디. “그만 가보시오그렇게나 많은 눈물바람을 받은 자식이 망할 리 없소!”(3.12.21)

문서 첨부 제한 : 0Byte/ 8.00MB
파일 제한 크기 : 2.00MB (허용 확장자 : *.*)
주제
아우구스티누스의 “행복한 사람” (2013.12.18)
by 관리자 on 2021-05-02 10:15
0 1696
by 관리자
on 2021-05-02 10:34
베르길리우스와 아우구스티누스의 비극 이해 (2017.11.25) file
by 관리자 on 2021-05-01 19:23
0 1360
by 관리자
on 2021-05-02 10:07
“진리여, 늦게야 당신을 사랑했습니다!”: 아우구스티누스의 「고백록」(2015.11)
by 관리자 on 2021-04-30 11:10
0 1554
by 관리자
on 2021-04-30 11:10
도올선생과 함께 하는, 성염 교수의 아우구스티누스 강의 (2016.6.20)
by 관리자 on 2021-04-30 10:50
0 1211
by 관리자
on 2023-06-27 11:22
서양 고전과 그 역사적 의미: 아우구스티누스 『고백록』과 『신국론』 (2020.10.17)
by 관리자 on 2021-04-30 10:46
0 1330
by 관리자
on 2021-04-30 10:46
Homo capax dei (인간, 하느님을 포괄하는 존재) 아우구스티누스, "영혼의 불멸과 크기" (2021.3.6)
by 관리자 on 2021-04-30 09:57
0 1774
by 관리자
on 2022-02-05 08:08
두 개의 사랑 두 개의 정치 - 아우구스티누스의 「신국론」에서 펼쳐진 역사의 새로운 지평 (2019.11.9)
by 관리자 on 2021-04-30 09:50
0 1424
by 관리자
on 2021-04-30 10:07
[고백록 읽기] 아우구스티노의 우주찬가 (경향잡지 2017.12)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6:03
0 1248
by 관리자
on 2021-04-19 06:03
[고백록 읽기] 인간, 하느님을 담을 수 있는 존재 (경향잡지 2017.11)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6:00
0 1235
by 관리자
on 2021-04-19 06:00
[고백록 읽기] 아우구스티누스의 사모곡 (경향잡지 2017.10)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59
0 1101
by 관리자
on 2021-04-19 05:59
[고백록 읽기] ‘하느님의 승부욕’ (경향잡지 2017.9)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58
0 1097
by 관리자
on 2021-04-19 05:58
[고백록 읽기] “사랑이 진리를 깨닫게 한다” (경향잡지 2017.8)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56
0 3418
by 관리자
on 2021-04-19 05:56
[고백록 읽기] 아우구스티노의 ‘정치적 사랑’ - ‘세상에 대한 사랑’과 ‘사회적 사랑’ (경향잡지 2017.7)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54
0 1197
by 관리자
on 2021-04-19 05:54
[고백록 읽기] "달려가거라! 내가 안고 오리라" (경향잡지 2017.6)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52
0 1090
by 관리자
on 2021-04-19 05:52
[고백록 읽기] “내가 내 자신에게 커다란 수수께끼” (경향잡지 2017.5)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50
0 1181
by 관리자
on 2021-04-19 05:50
[고백록 읽기] “아! 진리여, 진리여, 그대 내 하느님이시니” (경향잡지 2017.4)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48
0 1094
by 관리자
on 2021-04-19 05:48
[고백록 읽기] “내 나이 열여섯” (경향잡지 2017.3)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47
0 1168
by 관리자
on 2021-04-19 05:47
[고백록 읽기] 당신 창조계의 작은 조각 하나가 (경향잡지 2017.2)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45
0 1142
by 관리자
on 2021-04-19 05:45
['고백록' 읽기-1] 잔에 담긴 물을 보고도 바다를 상상하던… (경향잡지 2017.1)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38
0 1072
by 관리자
on 2021-04-19 05:52
[아우구스티노를 만나다 ⑥ 신국론] 하느님 나라의 초석: 사회적 사랑 [경향잡지 2012.6]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32
0 1153
by 관리자
on 2021-04-19 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