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성염의 읽기쉬운 사회교리
  2. 성염교수의 신앙칼럼
  3. 살아온 이야기
  4. 언론 인터뷰와 칼럼
  5. 신문방송에 비친 성염교수
  6. 가장 최근 칼럼
  7. 지리산人

crop-02.jpg


[고백록 읽기 ② 1]

(경향잡지 2017년 2월)


당신 창조계의 작은 조각 하나가 

 

하느님이 비가 내리게 하신다면 하필 바다로 쏟아지게 하실 게 뭐람거긴 물이 무진장이잖아게툴리아는 목이 타서 죽는데 기껏 비를 내리신다는 것이 바다로 쏟아지게 하신다하느님도 섭리도 엉터리라구!”(시편강해 148,10) 로마 제국의 곡창으로 간주되는 북아프리카 누미디아였지만 아우구스티누스의 고향 타가스테는 사막에 가까워 그다지 비옥하지 못했고 하느님의 섭리를 운운하는 그리스도인들에게 곧잘 조롱이 터져 나오던 사회분위기였다.


자치도시 타가스테의 공무원이던 부친 파트리키우스는 바람을 피우면서도 되레 아내한테 큰소리치던 속물이었지만 어려서부터 비상한 재주를 보이는 큰아들 아우구스티누스를 대도시로 유학 보내려 가산을 털만큼 깨인 사람이어서 주위의 칭송을 받기도 했다독실한 신자 아내의 열성으로 죽을 임시에 세례를 받고 죽는다어머니의 태중에서 나오자마자 십자성호로 그음을 받았고그분의 소금으로 절여져 있던” 아우구스티누스도 어려서 위장 폐색과 신열로 죽을 지경이 되어 세례를 받을 뻔했지만 금세 낫자 세례가 미뤄졌다어머니로서는 아들이 아직 더 산다면 때가 더 묻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었나 보다는 게 아들의 회고다.(고백록 제1권 11.17)


그래도 모니카는 서른 살 먹은 아들한테서 내가 살아가는 모든 게 어머니 덕이지요.”(참된 행복 1.6)라는 소리를 들을 만큼 치맛바람이 대단했다처자식만 데리고 출세 길을 찾아 몰래 로마로 떠나려는 아들을 기어코 따라가겠다고 매달렸다 카르타고 선창에서 따돌림 받고 대성통곡을 하지만훗날 기어이 밀라노까지 쫓아가서 아들이 16년이나 데리고 살던 여자를 내쫓고 열두 살짜리 양가집 규수와 약혼시키는 극성도 보였다.

 

저의 갓난이 시절은 죽은 지 오래지만 저는 살아있습니다


하늘과 땅의 주님당신께 고백합니다제가 기억도 못하는 저의 시초와 갓난아기 시절을 들어 당신을 찬미하렵니다주님당신에게서 아니면 어디서 이런 생물이 나오겠습니까어느 누가 자기 스스로를 만들어내는 장인이 될 수 있겠습니까?”(6.10) 세계와 인간을 피조물로 규정하여 창조설을 확립한 서구 사상가가 아우구스티누스다애초에는 주님제가 막상 드리려 하는 말이란 제가 어디로부터 이곳으로 왔는지 모른다는 것 말고 무엇이겠습니까말하자면 어디로부터 이 죽을 생명아니면 산 죽음으로 왔는지 모릅니다.”(6.7)라고 자백한다인간이 자기 출생을 두고 파도치는 망망대해 같은 이 세상으로 우리를 제멋대로 내던진 것이 신이냐 자연이냐 필연이냐 우리 의지냐(참된 행복 1,1)는 의문을 곱씹다 얻어낸 답은 당신 자비가 저를 거두어주셨다는 것입니다당신께서 저를 빚으셨습니다부친에게서 또 모친 안에서 시간으로 저를 빚으셨습니다.”(1권 6.9) 운명이나 신들의 장난으로 내던져진’ 인생보다 창조주의 손길로 역사의 한 시점에 고이 놓여진’ 인생이 훨씬 살 만하다.


존재의 첫 순간부터 하느님 손길로 보살핌 받았다는 안도감이 찬미의 고백을 빚어낸다. “사람 젖에서 오는 위안이 저를 거두어주기는 했으나 저의 어머니도 스스로 자기 젖가슴을 채운 것은 아니었고당신께서 그들을 통해서 갓난이 시절의 음식을 제게 베풀어 오신 것입니다그때 제가 하던 짓이라곤 고작해야 젖을 빨고 기분 좋아서 순해지거나저의 몸뚱이가 언짢으면 우는 것밖에 더 없었습니다.”(6.7)


당신은 존재하시고하느님으로서 존재하시며당신께서 창조하신 만물의 주님으로서 존재하십니다.”(6.9) 존재함이 하느님께 받은 가장 위대한 은총이고생명도 인식도 사랑도 존재의 그릇에 담기는 선물(그리스도교 존재론’)이었다당신께서 설령 제가 어린애인 채였으면 하고 바라셨다 하더라도 저는 존재하고 있었고살아있었고지각을 하고 있었습니다.”(20.31)


기우는 가세에 유학비를 챙겨 카르타고로 가자마자 여자와 동거하고 열여섯 나이에 아들을 낳아 아데오다투스’[하느님이 점지해주신 자]라는 거창한 이름을 붙이고 길러본 경험은 이노센스(innocens)’라는 화장품 이름을 재음미하게 만든다. “어린애가 아직 말도 할 줄 모르는 터에 제 젖을 먹는 아기를 보고서는 새파래지면서 잔뜩 찌푸린 얼굴로 노려보는 것이었습니다젖가슴에서 풍부하게 솟아나 젖이 넉넉한데 그 아이와 운명을 못 나누겠다는 심보가 과연 무죄함일지 모르겠습니다그러니까 무죄하다는 것은 지체들의 가냘픔이지 어린이들의 맘씨가 아닙니다.”(7.11)


소년기에도 놀기 좋아해서연극에서 본 것을 흉내 내려고 안달하면서 저는 헤아릴 수 없이 많은 거짓말로 선생들과 부모님까지 속이곤 하였습니다부모님의 곳간과 식탁에서 훔쳐내는 일도 마다하지 않았습니다놀이에서도 남들보다 앞서고 싶은 욕심에 속임수를 써 승리를 얻곤 하였습니다그러면서도 제가 다른애의 속임수를 밝혀낼 경우에는 얼마나 모질게 욕을 해댔는지제가 들켜서 욕을 들을 때는 얼마나 사납게 덤벼들었는지 모릅니다이것이 어디 어린아이의 무죄함입니까주님아닙니다당신께서 하늘나라는 이 어린이들과 같은 사람들의 것이라고 말씀하셨을 적에 겸손의 표로 인정하신 것은 어린 시절의 키뿐이었습니다.”(19.30) 이 체험은 교부가 그리스도교에 원죄론을 심어놓는 계기가 된다.

 

단검으로 최후를 결행한 디도를 두고 울던 시절


소년기(1권 8.13-20.31)가 오고 글을 배우라고 학교에 들여보내졌는데 가엾게도 저는 글을 배워 무슨 소용이 있는지 도무지 알 수가 없었습니다하지만 배우기에 조금이라도 굼뜨면 매를 맞곤 했습니다.” 교사들의 체벌은 아담의 후손들이 물려받은 수고와 고통이라지만 마치 주리를 틀고 인두로 지지는순교자의 수난 같았는데 그렇게 해서 주입되는 게 고작 출세해야 한다는 것인간의 명예와 헛된 부귀에 종노릇하게 말솜씨 부리는 기술에 뛰어나야 한다는 것(9.14)이었다산수나 암기과목에는 정떨어졌고그리스어에도 영 취미를 못 붙여 그는 그리스어를 모르는 유일한 교부로 남는다.


이 씁쓸한 경험은 학생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타고난 기억력과 상상력을 살리자는 아우구스티누스의 탁월한 교육철학을 낳는다후일에 그가 집필한 자유학예(산술기하문법음악철학미학수사학교재들은 중세 내내 교과서로 쓰였고교리교육에서도 1000년 넘게 통용되던 교본들이 집필되며그리스도교 교양(성염 역주, 1988 분도)은 지금도 성서에 대한 해석학적 접근으로 연구되고 있다신구약성경을 거의 암기해서 인용하는 명석한 두뇌활달한 기질인간과 자연의 삶에 적극 말려드는 성격은 그를 라틴어에서는 은성기(銀盛期로마문학을 대표할 문장가로북아프리카 출신임에도 밀라노 황실교수에 초빙 받는 수사학자로, ‘그리스도교 철학의 창시자요 가장 위대한 신학자요 전대미문의 논쟁가로 성장시킨다.


베르길리우스의 서사시 아이네이스에 심취하여 속세문학에 몰두하던 소년시절은 훗날 많은 것을 회상케 한다자신을 가엾게 여길 줄 모르는 가엾은 인간보다 더 가엾은 것이 무엇이겠습니까아이네아스를 사랑하다 죽어간 디도의 죽음을 통곡하면서도하느님당신을 사랑하지 않다가 죽어가는 자기의 죽음은 통곡할 줄 모르는 인간보다 가엾은 것이 무엇이겠습니까?” (13.21) 인간 속습의 강물이라 부르는 속세 문학과 예술이 유피터를 비롯한 제신들의 외설스러운 야담을 미화시키노라면 얼마나 훌륭한 신인가하늘 신전들을 지고한 천둥으로 뒤흔드는 분이야그러니 나 같은 하찮은 인간이 그 짓을 하지 말라는 법이 있나그래 난 했지그것도 기꺼이!”(16.26)라는 탕아들의 핑계로 실행된다.


청년시절의 방탕으로 미루어 욕정에 찬 상태에 있음으로써 당신 얼굴에서 멀어지는 것(18.28)이고 하느님은 비록 숨어계시고 드높이 침묵 중에 계시지만 불법한 욕정 위에다 맹목을 징벌로 뿌리시므로(18.29) 도덕적 질서를 어긴 모든 영혼은 본인에게 자기 벌이 된다(12.19)는 조숙한 실존적 고백을 낳는다이렇게 악은 피해자보다 가해자를 파괴한다는 명제는 고백록」 전체를 관통하는 주제가 된다.

 

문서 첨부 제한 : 0Byte/ 8.00MB
파일 제한 크기 : 2.00MB (허용 확장자 : *.*)
주제
아우구스티누스의 “행복한 사람” (2013.12.18)
by 관리자 on 2021-05-02 10:15
0 1646
by 관리자
on 2021-05-02 10:34
베르길리우스와 아우구스티누스의 비극 이해 (2017.11.25) file
by 관리자 on 2021-05-01 19:23
0 1301
by 관리자
on 2021-05-02 10:07
“진리여, 늦게야 당신을 사랑했습니다!”: 아우구스티누스의 「고백록」(2015.11)
by 관리자 on 2021-04-30 11:10
0 1504
by 관리자
on 2021-04-30 11:10
도올선생과 함께 하는, 성염 교수의 아우구스티누스 강의 (2016.6.20)
by 관리자 on 2021-04-30 10:50
0 1170
by 관리자
on 2023-06-27 11:22
서양 고전과 그 역사적 의미: 아우구스티누스 『고백록』과 『신국론』 (2020.10.17)
by 관리자 on 2021-04-30 10:46
0 1288
by 관리자
on 2021-04-30 10:46
Homo capax dei (인간, 하느님을 포괄하는 존재) 아우구스티누스, "영혼의 불멸과 크기" (2021.3.6)
by 관리자 on 2021-04-30 09:57
0 1742
by 관리자
on 2022-02-05 08:08
두 개의 사랑 두 개의 정치 - 아우구스티누스의 「신국론」에서 펼쳐진 역사의 새로운 지평 (2019.11.9)
by 관리자 on 2021-04-30 09:50
0 1382
by 관리자
on 2021-04-30 10:07
[고백록 읽기] 아우구스티노의 우주찬가 (경향잡지 2017.12)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6:03
0 1210
by 관리자
on 2021-04-19 06:03
[고백록 읽기] 인간, 하느님을 담을 수 있는 존재 (경향잡지 2017.11)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6:00
0 1197
by 관리자
on 2021-04-19 06:00
[고백록 읽기] 아우구스티누스의 사모곡 (경향잡지 2017.10)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59
0 1063
by 관리자
on 2021-04-19 05:59
[고백록 읽기] ‘하느님의 승부욕’ (경향잡지 2017.9)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58
0 1061
by 관리자
on 2021-04-19 05:58
[고백록 읽기] “사랑이 진리를 깨닫게 한다” (경향잡지 2017.8)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56
0 3375
by 관리자
on 2021-04-19 05:56
[고백록 읽기] 아우구스티노의 ‘정치적 사랑’ - ‘세상에 대한 사랑’과 ‘사회적 사랑’ (경향잡지 2017.7)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54
0 1159
by 관리자
on 2021-04-19 05:54
[고백록 읽기] "달려가거라! 내가 안고 오리라" (경향잡지 2017.6)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52
0 1052
by 관리자
on 2021-04-19 05:52
[고백록 읽기] “내가 내 자신에게 커다란 수수께끼” (경향잡지 2017.5)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50
0 1139
by 관리자
on 2021-04-19 05:50
[고백록 읽기] “아! 진리여, 진리여, 그대 내 하느님이시니” (경향잡지 2017.4)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48
0 1055
by 관리자
on 2021-04-19 05:48
[고백록 읽기] “내 나이 열여섯” (경향잡지 2017.3)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47
0 1131
by 관리자
on 2021-04-19 05:47
[고백록 읽기] 당신 창조계의 작은 조각 하나가 (경향잡지 2017.2)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45
0 1104
by 관리자
on 2021-04-19 05:45
['고백록' 읽기-1] 잔에 담긴 물을 보고도 바다를 상상하던… (경향잡지 2017.1)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38
0 1034
by 관리자
on 2021-04-19 05:52
[아우구스티노를 만나다 ⑥ 신국론] 하느님 나라의 초석: 사회적 사랑 [경향잡지 2012.6] image
by 관리자 on 2021-04-19 05:32
0 1112
by 관리자
on 2021-04-19 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