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우철학상 수상(2005.5.19)소감 

 

        역사의 지평 너머를 바라보는 시선을 따라

 

                                                성염(서강대철학과. 현:주교황청대사)

 

1. 저는 서기 5세기(354-430)에 북아프리카에 살았고, 그리스도교에서 교부(敎父)이자 성인(聖人)으로 추앙하며, 철학계에서는 “근원에서 사유하는 철학자”로 꼽히는 인물 아우구스티누스(Aurelius Augustinus)의 저작 De civitate Dei를 우리말로 번역하였습니다. 이 작업을 이유로 한국 철학계의 거목 최재희 선생님을 기리는 서우철학상을 받는 것은 교단에서 철학을 가르쳐 왔고 아우구스티누스의 저서들을 번역해 온 제게는 크나큰 영광입니다.

   무엇보다도 먼저 출판계의 끝없는 불황과 출판상의 모든 불이익을 무릅쓰고 서구문화의 보고인 「교부총서(敎父叢書)」를 간행하면서 그것도 그리스어와 라틴어 원문과 우리말 대조본을 발행하는 왜관 분도출판사의 문화적 용기와 학문적 공헌에 감사드립니다. 분도출판사는 우리의 암울하던 군사독재하에서 해방신학을 도입하고 인간존엄성 보호와 환경운동의 근간이 되는 서적들을 출판하여 우리 사회의 민주화에 선도적 공헌을 해왔습니다. 그리고 1999/2000년도 동서고전명저번역지원사업으로 채택하여 이 대저의 번역주해를 재정적으로 후원해준 한국학술진흥재단에도 이 기회에 감사를 표합니다.

 

2. 모두가 아시는 것처럼, 번역은 문화 전달(transcultural)의 작업입니다. 책이라는 정신 문화의 나무를 본래 자라던 서구의 그리스도교 토양에서 ‘파내어’ 배달 겨레가 사는 한반도로 ‘옮겨심는’ 일입니다. 따라서 라틴어로 집필된 언어 단계와 한국어에 의한 표현 단계를 어떻게 융합시키느냐가 번역(飜譯)이 반역(反逆)이 되지 않는 열쇠입니다.

   우리가 아는 언어의 거대 구조(巨大構造) 내지 텍스트 언어학에 의하면, 정보라는 것은 텍스트 내부에 들어가서 일정한 위계를 구성하면서 문장들로 조직됩니다. 그리고 일정한 문화적 역사적 환경 설정이 그 조직의 문양(紋樣)을 만들어냅니다. 즉 일정한 논지들이 의미론적 구조 내부에서 자리를 잡기 때문에 독자는 원문을 개별 문장들로만 보지 않고 텍스트의 개념적 내용을 전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야 하고, 독자의 이해를 돕는 번역자는 자기가 번역해야 할 텍스트에 대해서 의미 구조를 먼저 직관적으로 파악하고, 이어서 그 의미 구조를 분석적으로 구분해내는 가운데 한국어로 표현할 의미 구조를 변환시키리라고 기대합니다.

   또한 번역은 창작(創作)입니다. 원작을 무작정 복제(複製)하는 것이 아니라 늘 새로이 해석(解釋)하고 새로운 의장으로 실현하는 작업이기 때문입니다. 라틴어 원문으로부터 한국어라는 새로운 의사 전달 체계로 개념과 거대 구조를 이동시키는 작업인 이상, 양편 언어 및 사유 체계 사이의 의사 불통의 장벽을 넘어서야 합니다. 또 번역자가 만들어낼 텍스트로부터 올만한 문제, 원본보다는 그것을 재작업한 결과에 비판을 치중해야 할 것입니다. 따라서 현대의 번역 이론은, 진리관에 정합설과 대응설이 있듯이 원본과의 상합성(相合性) 내지 동등성(同等性) 대신에 정합성(整合性) 내지 일관성(一貫性) 개념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직역(直譯)과 의역(意譯)이 있습니다.

 

3. 이러한 번역이론에 비추어 볼 때에, 아우구스티누스의 『신국론』은 인식론적으로 철학과 신학 혹은 이성과 계시에 대해서 경계통합적(境界統合的) 시각(“이해하기 위하여 나는 믿는다” credo ut intelligam)을 전제하고, 감각적 경험 이외의 것도 인식의 대상으로 삼을 뿐더러 오히려 관념적인 것에 비중을 두며(“신이여, 당신을 알고 나를 알고 싶나이다” noverim Te, noverim me), 세계를 창조주의 피조물(esse creatum)로 보기 때문에 인생과 역사의 종국 역시 신과 인류 두 의지(意志)가 엮어내는 초역사적 형이상(形而上)에다 설정하고 있습니다(“당신을 위하여 우리를 내시었기, 당신을 찾기까지는 우리 마음이 마냥 찹찹하지 않나이다” non quietum est cor nostrum donec Te invenerit). 이러한 종교 문화적 철학 사상적 환경 설정을 파악하지 않고서는 이런 대형 도서는 번역도 독서도 힘겹고 지루할 것입니다.

 

4. 고대 세계의 위대한 역사적 경이(歷史的驚異)에 해당하는 로마 제국(pax Romana)이 5세기에 들어와 급격한 쇠퇴와 붕괴의 조짐을 보이기 시작하더니, 서기 410년 8월 24일 고트족의 알라릭이 로마를 함락시키고 입성한 다음 대학살과 방화와 약탈을 저지르고 퇴각하는 미증유의 사건이 발생하자 제국내에 거국적인 혼란이 발생하였으며, 이 대재앙에 뒤따른 정신적 혼돈이 격심하였습니다. 이 사건으로 자신부터 커다란 충격을 받은 아우구스티누스는 역사적 변란과 개인적 고통에 대한 해석과 전망을 그리스도교 신학과 당대의 철학적 유산을 총동원하여 모색합니다. 이것은 9.11 테러 이후에 미국(pax Americana)이 당한 정신적 충격, 그 충격의 후유증이라고 변명하는 무차별적 군사 행동, 국제 정치와 세계 윤리를 완전히 붕괴시켜 버린 그 포학성 앞에서 아연하면서도 속수무책으로 지켜보고만 있어야 하는 인류 지성계의 번뇌를 관찰하면 수긍이 갑니다. 이 저서가 현대성을 갖는 이유가 여기 있습니다.

 

5. 이 저서를 읽는 독자는 “국가란 법정의(法正義)에 관한 공통된 인식과 공동의 이해관계에 의하여 연합된 결사체" 내지 “공공의 사물(res publica)” 혹은 “국민의 사물(res populi)이라는 키케로식의 정의가 ”국민이란 사랑할 대상에 대해서 서로 합의함으로써 한데 뭉친 이성적 존재들"로 발전하는데 유념하리라고 봅니다. ”정의(正義) 없는 국가는 강도떼가 아니고 무엇인가?“라고 설파하여 정치의 궁극목표가 정의에 기반을 둔 평화(opus iustitiae pax: "평화는 정의의 열매“)임을 주창하면서도, 역사상 현실로 구현되는 일이 결코 없는 법정의(法正義)에 대한 공통된 인식(iuris consensus) 대신에, 인간들이 사랑할 대상에 대한 합의(concors dilectio)가 국기(國基)를 이룬다는 착상, 다시 말해서 정의 대신에 사랑이 국민을 구성하고 "두 사랑이 있어 두 도성을 이룬다"는 명제에 신선한 느낌을 받을 것입니다.

 

6. 인간 실존의 중력(重力)인 사랑(amor meus pondus meum)이야말로 인간의 가장 심원한 본능이고 인간 각자가 삶의 매순간과 실존의 전차원에서 이 신비에 걸려서 살아간다는 것이 아우구스티누스의 인간학입니다. 인간 개인에게서도 인류의 역사에서도 이 사랑이 이기적(利己的) 사랑과 위타적(爲他的) 사랑 혹은 ‘자기 사랑’(amor sui)과 ‘하느님 사랑’(amor Dei)으로 갈라지며 인류사의 두 축을 구성한다는 것입니다. "두 가지 사랑이 두 도성을 건설했다. 하느님을 멸시하기까지 이르는 자기 사랑이 지상 도성을 만들었고, 자기를 멸시하면서까지 하느님을 사랑하는 사랑이 천상 도성을 만들었다." 다른 저작에서 그는 이 두 사랑을 구체화하여 지상국과 신국, 혹은 그 소속을 가르는 기준으로 '사사로운 사랑'(amor privatus)과 `사회적인 사랑'(amor socialis)이라고 명명합니다. 그가 여기서 하느님을 거명하는 이유는 인류의 첫째가는 공동선(共同善)이 다름 아닌 하느님이기 때문입니다.

 

7. 인간은 정치적 동물이므로 정치라는 것을 떠나서 지상의 순례길을 통과할 수는 없습니다. 이것은 지상의 나라를 통과하든 하느님 나라에 도달하든 간에 그 길이 다름 아닌 `사회적 사랑'이라고 주장하는 데서 분명하게 드러납니다. 그러나 인간의 초역사적 여정을 안전에 두고 있는 역사신학자로서는 정치가 안고 있는 근원적인 결핍과 그에 대한 대안을 추구해야만 했습니다. 인간은 역사적으로 공공 사물에 대한 헌신과 지상 조국에 대한 사랑을 통해서 개인적 집단적 이기심과 사사로운 탐욕을 극복하는 노력을 경주해 왔으나, 그것으로 얻은 것이라고는 집단적 이기심과 현세적 영광과 권력뿐이었으며 타민족과 타집단을 상대로 하는 전쟁과 학살과 착취로 점철된 것입니다. 교부의 날카로운 눈에는 전세계를 정복하여 통치하고 있던 로마의 제국도 예외는 아니었습니다.

   다만 `사회적 사랑'이 하느님 도성을 구성하는 본질이라면 공동 행복이 그 나라의 완결과 종국을 나타내는 표지가 되는 것만은 분명합니다. "천상 도성도 순례 중에 있는 동안 지상 평화를 이용하며... 지상 평화가 천상 평화에 이바지하게 한다... 두 도성이 뒤섞여 있는 이상 우리도 바빌론의 평화를 이용하자!" 그것 때문에 그리스도인들은 역사적 투신 속에서도 언제나 사회 조건 전체에 종말론적 단서(但書)를 붙이는 여유를 갖습니다. 왜냐하면 그가 완결된 하느님 도성 혹은 완전한 사회의 이념을 "진리를 군주로, 사랑을 법도로, 영원을 척도로 두는 사회"로 규정하고, "천상 도성에서는 진리가 승리자요 거룩함이 품위가 되고 평화가 행복이요 생명은 곧 영원"(ubi victoria veritas, ubi dignitas sanctitas, ubi pax felicitas, ubi vita aeternitas)이리라고까지 승화시켰기 때문입니다. 이상 사회의 이 목표를 향해서 인류는 역사의 도정을 밟아가고 있다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