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19일 목요일, 맑음


밤새 큰바람이 불더니 테라스에 기대 세워 놓은 튼튼한 야외용 식탁과 한바탕 씨름을 하고서는 바닥에 둘러메쳤다. 햇볕을 가리던 덮개가 벗겨진채 벌렁 누웠던 식탁을 다시 벽에 기대 세웠다. 보스코와 함께 끙끙 힘을 써가면서... 덮개도 다시 입혀 바람에 펄럭이지 않게 위쪽을 여며주었다. 무방비 상태에서는 장비 같은 장수도 평범한 졸개한테라도 당하는 법이다. 누가 알았겠는가, ‘대한(大寒)이가 놀러 왔다 얼어죽었다던 소한(小寒)일부터 처량한 겨울비가 봄비인양 주룩주룩 내려 모처럼 다져졌던 휴천재 마당은 드나드는 트럭으로 다시 곤죽이 될 줄을? 지리산 하봉은 하얗게 눈이 쌓였지만 이 골짜기에선 아직 제대로 눈구경 한번 못했다.


[크기변환]20200109_115207.jpg


[크기변환]IMG_3249.JPG


어제는 강건너로부터 바람마저 달려들어 기욱이네 밭에 함부로 난 대나무들은 허리가 부러지게 몸을 흔들어대고, 휴천재 양옆의 솔밭들은 무섭게 울어쌓더이 낡을 대로 낡은 이장네 외양간을 지붕채로 주저앉혔다. 지난여름 장마 뒤엔 앉은뱅이 할머니가 늘 툇마루에 앉아계시던 본채가 주저앉아서 기동씨가 헐어내느라 한참이나 애를 먹었다. 그 집은 할머니가 살 적에도 비가 오면 단간방 이쪽저쪽에 물받이 플라스틱 그릇이 놓이던 기억도 난다. 길가를 내다보며 커다랗고 순한 눈을 껌벅이던 소가 살던 측간 겸 외양간을 이제는 들어내야 할 판이다.


[크기변환]20200107_081908.jpg


어려서 매를 잘못 맞아 앉은뱅이가 되고 말았다는 그 할머니! 그 곁에 손주 하나가  말동무가 되어 주었다. 읍내로 고등학교를 갔다 와서는 소먹일 꼴을 한 지게 베다 주던 소년은 몇 해 눈에 안 보이더니 도회지로 떠나 선생이 되어 지금은 안의에서 초등학교 선생질을 하고 있다는 엄마 제동댁의 자랑. 세월은 가고 얘들은 커서 어른이 되는데, 어른이던 우리는 저 낡은 집처럼 늙고 주저앉아 길게 눕는신세로 바뀐다. 처음엔 안방 아랫목에 눕고, 거기서도 못 일어나면 앞산 양지바른 언덕으로 옮겨 누워 산이 된다.


[크기변환]20200109_173625.jpg


[크기변환]20200109_173558.jpg


오후에 텃밭에 내려가 보니 초겨울에 잠시 비닐하우스를 해 줬던 고랑의 상추와 시금치, 유채가 곱게 싹을 올리고 봄을 기다린다. 겨울에 먹겠다고 봄동으로 남긴 배추는 노루가 내려워 파란 잎을 동그랗게 곱게도 뜯어먹었다. 지난 가을 배추농사 무농사는 망치다 시피 하였지만 짐승들 입질을 피해서 김장이라도 할 수 있었으니 고마운 일이다.


언제부턴가 당신 논 축대 쌓기에 필이 꽃인 유영감님이 오늘은 자기 논에 붙은 구장네 축대에서 풀을 뽑아내고 바위 틈틈으로 쌓인 흙을 긁어내고 있다. 흙이 채워져야 풀이 뿌리를 내리고, 그래야 그나마 견딜 축대인데 구장이 보면 큰소리가 나겠다. '아저씨, 왜 흙은 그렇게 털어 내세요?'라고 물으니 '풀이 덕지덕지 보기 싫어서'란다. 동네 아짐들이 '유영감은 축대 쌓는 치매가 걸렸는갑다' 흉을 보는데.... 내외간의 외면이 심한 이 동네에서 그나마 나와 터놓고 말을 거는 유일한 남정인데....


[크기변환]20200109_174146.jpg


점심 먹고 보스코가 서재로 올라가기 전 식탁에 얼른 비닐을 깔고 멸치상자를 펼쳤다. 머리를 떼내고 내장을 가려 멸치다시 내리는 준비인데 '나 혼자 하려면 무지 지루하다'고 꼬시니 말없이 멸치손질을 두어 시간 해주었다. 멸치 한 마리 한 마리 까면서도 둘 사이는 얘기가 그치지 않는다. '미국과 이란이 싸움을 한 건지, 아니면 쇼를 한 건지',  '추다르크가 얼마나 야무지게 잘 했는지', '진중권이가 왜 저렇게 망가졌는지', '안철수가 냄새 하나는 기가 막히게 잘 맡고 돌아와 박근혜 밑으로 들어갈 참이려니' 하는 얘기가 이어진다. 저녁밥상에는 스.선생댁에서 가을에 준 호두를 봉지째 맡겼더니 또 말없이 호두를 까준다.


[크기변환]20200109_152639.jpg


[크기변환]20200109_192219.jpg


'우리 대학자'께서 오늘은 모처럼 서재 책상머리를 좀 떠나서 외도를 한 셈이지만 그래도 부부가 마주 앉아 도란도란 얘기를 주고받으며 이렇게 멸치 손질 하던 시간이, 라틴어학자가 아우구스티누스의 펠라기우스 논쟁서를 펴내던 시간보다 더 절실하고 귀한 일상의 기억으로 되살아날 때도 오려니, 하는 안타까움이 가슴 바닥에 깔린다.이제 우리에게 남은 날은 한줌이다.


[크기변환]IMG_3244.JPG